경제·금융

국민銀, 김정태 행장 징계 놓고 勞勞갈등 비화 조짐

국민은행의 양대 노조인 국민은행 노동조합과 옛주택은행의 노동조합이 금융감독당국의 김정태 행장에 대한 징계 문제를 놓고 서로반대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노노갈등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위원장 이낙원)는 김 행장이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합병전 김 행장이 행장으로 있던 주택은행 노조(위원장 양원모)는 금융감독원 검사결과가 `괘씸죄'가 적용된 표적감사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은 김 행장에 대한 징계문제가 마무리되더라도 조직 내부 갈등 심화에 따른 후유증을 상당기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 노조는 27일 특별성명서를 통해 "국민은행 경영 전반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감사결과는 리딩뱅크로서의 자부심을 한 순간에 무너뜨렸다"고 지적하고 "김행장은 현 사태의 책임을 통감하고 은행의 혼란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조금이라도 국민은행의 미래를 생각하는 최고경영자(CEO)의 올바른 모습"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국민은행 노조는 "현재 경영진은 그러나 이미 백일하에 드러난 경영실패와 부도덕성을 도외시한 채 금융당국에 반하는 의사결정에 대한 보복이라는 논리로 감사결과를 표적감사, 신관치로 호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주택은행 노조는 전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국민은행에 대한 금감원의 대대적인 조사와 문책 조치가 SK와 LG카드 사태가 발생했을 때 김 행장이 정부 및 금융감독당국과 끝까지 대립해 괘씸죄가 적용됐기 때문"이라며 김 행장에 대한 지지입장을 분명히 했다. 주택은행 노조는 "감독당국이 의혹을 명확하게 해명하지 않고 은행과 카드사 합병에 관한 회계규정으로 촉발된 사소한 문제점만 거론한다면 세간의 표적감사 의혹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융권에서는 김 행장이 옛 주택은행장 출신으로 국민은행과의 통합과정에서 주택은행 출신을 중용하면서 생겨난 옛 국민은행 출신들의 불만이 이번 사태로 표출되고 있다고 보고 노조 성명전으로 촉발된 조직내부의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은행에서는 그동안 숙원사업의 하나로 추진해온 노조 통합작업이이번 사태로 인해 큰 타격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 5월17일 국민.주택.국민카드 등 3개 복수노조를 연내에 하나로통합하기 위해 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통합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해왔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