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시중유통 검정참깨 타르계 색소 검출

품질이 낮거나 값싼 횐깨 염색용…물에 담그면 색소 배어나와

시중유통 검정참깨 타르계 색소 검출 품질이 낮거나 값싼 횐깨 염색…물에 담그면 색소 배어나와 한국아이닷컴 이병욱 기자 wooklee@hankooki.com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검정참깨에서 농산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타르계 색소가 검출되는 등 먹거리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소비자보호원은 7일 서울과 대전, 부산 등 전국 6개 도시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108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검정참깨와 고춧가루, 완두콩 161점을 대상으로 색소사용여부와 원산지 표시여부를 조사한 결과, 검정참깨 16점(16.8%)에서 타르계 색소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원산지별로는 중국산 검정참깨 66점 가운데 21.2%인 14점에서 타르계 색소가 검출됐으며, 국산은 29점중 6.9%인 2점에서 색소가 나왔다. 소보원에 따르면 이번에 검정참깨에서 검출된 타르계 색소는 미국공익과학센터가 섭취금지 색소로 분류하고 있는 '청색 1호'가 가장 많았다. 또 미국 식품의약안전청(FDA)에서 민감한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에 함유여부를 표시하도록 한 '황색 4호'와 '적색 2호', '황색 5호'가 그 뒤를 이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들 색소를 가공식품에 사용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지만 농산물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완두콩과 고춧가루에서는 타르계 색소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소보원은 덧붙였다. 소보원 관계자는 "가격이 싼 흰깨를 검정참깨로 둔갑시키거나 품질이 낮은 검정참깨의 색상을 좋게 하기 위해 색소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색소를 넣은 참깨인지 여부는 육안으로 구분이 잘 안 되며, 물에 오래 담가놓으면 물이 다소 파랗게 되는 속성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소보원이 검정참깨, 완두콩, 고춧가루 판매점 108곳의 원산지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35.2%인 38곳에서 원산지 표시를 제대로 하지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점의 원산지 미표시율이 75.0%에 달했고, 재래시장의 미표시율도 30.9%나 됐다. 국산 완두콩의 원산지 미표시율이 83.3%로 가장 높았으며, 국산 검정참깨가 34.5%, 수입산 검정참깨가 30.3%, 수입산 고춧가루가 29.4%로 그 뒤를 이었다. 입력시간 : 2006/09/07 14: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