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권 아파트, 상가와 맞교환 하실 분?"


8.29 대책 발표 한달 여 시장은 여전히 침체 수도권 소재 미분양 빌라 4가구를 보유하고 있는 김모씨는 최근 충남 태안의 9억원대 토지와 빌라를 맞교환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1년 넘게 미분양으로 남아 골머리를 앓고 있는 터에 부동산중개업소에서 토지와 맞바꿀 것을 제안해 왔기 때문이다. 정부의 8.29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거래가 살아나지 않자 주택과 상가, 주택과 토지 등을 교환하는 ‘부동산스와핑’이 성행하고 있다. 특히 대출규제로 현금 거래가 힘든 강남권 고가 아파트와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과의 스와핑은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중형아파트와 빌라로까지 맞교환매매가 확산될 조짐이다. *관련기사 5면 실제로 강남권 중개업소에는 대치 아이파크 179㎡, 도곡 렉슬 143㎡ 등 15억~25억원 수준의 강남권 랜드마크 아파트들이 스와핑거래를 위한 매물로 나와 있다. 스와핑 대상은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이 대부분이다. 잠실 J공인 관계자는 “대형의 고가 아파트의 경우 현금 매매가 쉽지 않아 가격을 크게 낮추지 않으면 거래가 거의 되지 않는다”며 “양도세 등의 문제로 꼭 팔아야 하는 수요자들에게는 교환을 권하고 있고 실제 거래도 꽤 되는 편”이라고 말했다. 통상 부동산스와핑은 시장 침체기에 활기를 띠는 거래 방식으로 부동산을 매매하고 싶어도 매수세가 없어 매매를 하지 못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관계자는 “강남권 대형아파트의 경우 현금매매보다 스와핑의 비율이 더 높아졌다”며 “정부대책에도 시장이 살아나지 않고 있어 앞으로 스와핑 추세가 더 확산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8.29대책의 후속 조치가 속속 시행되고 있음에도 거래부진 속에 집 값 약세가 이어지고 전셋값은 급등하자 대책의 약효가 없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시적인 DTI해제에도 주택담보대출은 오히려 줄었고,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 대출 실적도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