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물가 방심해서는 안된다

정부는 물가에 대해 상당한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같다. 그것은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8%로 사상 최저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여러가지 특수요인이 겹쳤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 우선 환율이 급락, 원자재값이 안정된 것이 기여를 했다. 하반기 수입급등세에 밀리기는 했지만 무역수지도 235억달러 흑자를 기록, 98년에 이어 흑자기조를 이어왔다. 국민들의 소비심리도 국제통화기금(IMF) 첫해인 98년에 대비, 되살아났다고는 하지만 완전 회복된 것은 아니다. 새해 정부의 경제운용계획은 다음주 중에나 발표될 예정이지만 올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대에서 안정시키겠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다. 물가가 3%대에서 안정만 된다면야 이보다 더 좋을 일이 없다.우리나라에서 물가가 크게 오르는 경우는 몇년마다 한번씩 찾아오는 선거철과 설과 추석 등 민족 최대의 명절 때다. 특히 올 설은 한일어업협정의 여파로 국내 어획량이 감소, 제수용품은 10%이상 올랐다. 과일도 지난해의 수해로 수확량이 뚝 떨어져 배의 경우 70%가 뛰었다. 설에 이어 곧장 총선으로 연결돼 상반기부터 물가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 된 것이다. 선거철에는 으레 물가가 오르는 것이 과거의 경험이다. 새해들어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원유가의 추이도 지켜보아야 할 대목이다. 물가가 오르면 졍제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애써 일궈놓은 경제를 자칫 IMF직전의 혼돈상황으로 몰고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물가관리는 1차적으론 정부의 몫이지만 국민들도 협조를 해야 한다. 우선 분에 넘치는 호화·과소비를 자제해야 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폭증하고 있는 고급사치성 제품의 수입은 무역수지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IMF의 관리체제하에 있다. 물가를 방심할 때가 아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