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불산 누출 구미, 특별재난지역 선포] 주변업체 여전히 조업… 2·3차 피해 우려

근로자 기침 등 고통 호소<br>낙동강 오염 노출 불구 정부 대책 없어 불안 확산<br>지역경제 타격도 현실화… 주민들 집단소송 움직임

뒤늦은 대책회의, 8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열린 구미 불산유출사고 수습대책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기환(오른쪽 두번째) 소방방재청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김주성기자

구미 불산 누출사고가 발생한 지 12일째인 8일 사고현장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지만 주변의 기업들은 여전히 조업 중인 것으로 나타나 2차 피해 우려를 낳고 있다. 더욱이 불산이 땅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비를 타고 흘러 하류지역 식수원인 낙동강마저 오염시키는 3차 피해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도 정부가 이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책도 내놓지 않아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이날까지도 구미국가산업4단지 내 사고 현장 주변에는 근로자들이 마스크를 쓴 채 일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침, 두통, 피부 가려움 등을 호소하고 있지만 정부의 조업중단 명령이 없어 아직도 현장에 나와 일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심상정 무소속 의원은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노동자들이 건강 이상을 나타내는 등 대규모 불산 산재가 일어날 수 있지만 고용부가 어떠한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산업안전공단 대경권본부가 지난 5~7일 불산 사고 주변업체 58곳의 노동자 건강실태를 조사한 결과 그간 병원진료를 받은 근로자는 이미 1,300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난으로 인해 공장가동을 스스로 중단하는 업체들도 속출하는 등 지역경제의 피해도 현실화되고 있다.

관련기사



사고 현장에서 200여m 떨어진 전자업체의 한 관계자는 "이미 상당한 피해를 입은 데 더해 사고로 위험을 느낀 근로자들이 집단으로 퇴사하고 있지만 이 일대가 위험하다는 소문이 나면서 입사를 피하는 바람에 신규 인력공급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생산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구미시의 한 관계자는 "가장 시급한 건 보상이 아니라 과연 여기서 계속 조업을 해도 되는지에 대한 정부의 확실한 답변"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고기업과 정부를 상대로 한 주민들의 집단소송 움직임도 일고 있다.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ㆍ임천리 주민대표 30여명은 이날 오전에 모여 집단소송을 위한 비공개 회의를 열었다. 시민단체인 구미낙동강공동체는 주민들과 함께 정부 등을 상대로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