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佛패션 '로레알' 亞시장 공략 나서

佛패션 '로레알' 亞시장 공략 나서 세계 패션업계의 공룡인 프랑스 패션 그룹 '로레알'이 아시아 공략에 본격 나섰다. 다양한 브랜드와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 세계 최대의 화장품 그룹으로 성장한 로레알은 지난 24일 색조 화장품으로 유명한 일본 '슈우에무라'의 해외 영업권 및 지분 35%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로레알은 아시아를 비롯 뉴욕과 파리, 런던 등 세계적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는 슈우에무라를 통해 전세계 동양 여성들을 사로잡겠다는 계획이다. 로레알의 슈우에무라에 대한 이번 조치는 최근 틈새 시장 공략에 주력하고 있는 회사 전략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세계에 500여개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로레알은 업체 규모가 작아도 차별화된 제품만 있다면 주저없이 로레알의 가족으로 편입시키는 전략을 구사해왔다. 이 같은 로레알의 전략은 경쟁사인 LVMH(루이뷔통 모에 헤네시)와는 대조적인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LVMH가 최고급 패션브랜드만을 선별적으로 인수해왔다면 로레알은 제각각 성격이 다른 작은 브랜드들을 모아온 것. 이 때문에 LVMH의 브랜드들은 크리스찬디오르, 겐조, 겔랑, 지방시, 크리스티앙 라크루아 등 고가품 일색인 반면 로레알은 비오템, 키엘, 조르지오 아르마니, 헬레나 루빈스타인, 메이블린 등 개성있는 브랜드군을 이루고 있다. 로레알이 올 초 인수한 미국의 작은 모발전문업체 '소프트쉰칼슨'은 흑인 여성들의 머리를 펴는 특수 제품으로 유명한 업체. 로레알은 이 회사를 3억7,000천만 달러에 사들임으로서 미국 모발관리제품 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흑인 시장 공략에 나선 바 있다. 로레알은 이제 슈우에무라 인수를 계기고 아시아계 여성들을 위한 브랜드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해 계열사인 메이블린의 경우 속눈썹을 잘 올려준다는 특성을 강조한 마스카라로 일본 시장의 18%를 차지했다. 아시아 여성들의 취향에 맞춘 제품군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로레알의 메이블린에 이어 이제는 슈우에무라로 색조 화장품 시장에서의 로레 알의 입지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최원정기자 입력시간 2000/11/26 18:02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