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中시장서 타이완에 밀려

중국이 우리의 수출 주력 시장으로 급부상하는 가운데 최근 한국산 제품이 타이완 제품에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한국무역협회산하 무역연구소는 `중국시장에서의 한ㆍ대만 경쟁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작년 하반기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세는 둔화되고 있는데 비해 대만의 대중국 수출세는 급증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의 한국산 제품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지난 98년 10.7%를 정점으로 매년 축소돼 올 1~8월중 9.4%까지 떨어진 반면 타이완의 시장 점유율은 이 기간동안 11.9%에서 12.8%까지 증가세를 보였다. 상위 20대 수출품목(HS4단위기준)의 점유율에서도 한국은 이 기간 동안 19.6%에서 16.6%로 하락한 반면 타이완은 15.6%에서 19.8%로 급증, 오히려 한국을 추월했다. 이에 따라 98년 타이완의 90%수준이었던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올 1~8월중 73% 수준으로 급락했으며, 상위 20대 수출품목 기준으로도 같은 기간 타이완의 77%수준에서 52%수준으로 격차가 확대됐다. 협회는 이처럼 중국시장에서 타이완에 밀리고 있는 것은 ▲타이완의 중국 투자 강화로 원부자재 수출이 늘고 있고 ▲석유화학, 철강제품을 중심으로 최근 타이완이 설비를 증설, 수출 여력을 늘리고 있고 ▲타이완이 지난해부터 미국, 일본, EU시장의 경기침체에 따라 중국에 대한 수출을 대폭 강화한 점 등을 꼽았다. 이인호 무역연구소 팀장은 “80년대 세계시장에서 우리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타이완과 또 다시 중국시장에서 2라운드 격전을 벌이고 있다”며 “선진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감소를 중국시장에서 보전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로서는 수출 상품의 경쟁력 강화, 중국내 기업과의 제휴 강화 등을 통해 타이완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강동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