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악 상황 가정해 원전 안전 점검한다

정부, 23일부터 점검 착수<br>지역주민ㆍ환경단체 의견도 반영

정부가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사고가 국내 원전에서 발생했을 경우를 가정하고 총체적 점검에 나선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1일 오후 자문기구인 원자력안전위원회를 긴급 소집, 국내 원전 안전검검 관련 세부계획을 심의ㆍ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진 및 쓰나미가 발생해 원전의 전력이 끊겨 대형 원전 사고가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응 절차의 적절성 등을 살피는데 초점이 맞춰진다. 점검단은 지진ㆍ해일, 전력ㆍ화재ㆍ냉각, 중대사고, 비상대응, 장기가동원전, 연구로ㆍ핵주기시설 등 크게 6개 분야로 구성된다. 상용 원전 외에도 연구용원자로ㆍ핵연료가공시설의 침수대책과 방사선 비상진료기관의 장비ㆍ의약품 비축 적정성도 함께 점검한다. 점검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다. 특히 원전 주변 주민과 지자체, 환경단체의 의견도 점검 과정에서 적극 반영하고 점검 결과는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정밀 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원전의 경우 가동중단(Shut down) 조치까지도 검토된다. 점감단은 오는 23일 착수회의를 시작으로 활동에 들어가 다음달 말까지 약 1개월여 점검을 진행한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국내 원전의 안전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원자력 안전행정 관련 별도의 상설위원회 신설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