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차세대 LCD 표준화 경쟁 점화

삼성전자 8·9세대 규격 동시 발표 '승부수'<BR>LG 필립스등 촉각 곤두속 "좀더 지켜보자"

‘7세대에 이어 8~9세대 표준화도 삼성이 주도하겠다’. 7세대 액정표시장치(LCD)의 표준화를 놓고 LG측과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가 내친김에 차세대 LCD인 8세대와 9세대 기판의 규격을 동시에 전격 발표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이상완 삼성전자 LCD총괄 사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톤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SID 2005’ 기조연설을 통해 8세대와 9세대 기판 크기를 각각 ‘2160㎜×2460㎜’와 ‘2400㎜×2800㎜’로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전세계 LCD 업계에서 8세대 기판을 확정한 곳은 삼성과 동일한 규격의 샤프(일본)가 유일하며, 9세대 기판의 규격 발표는 삼성전자가 처음이다. 이에 따라 7세대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LCD 표준화 경쟁이 8~9세대로 옮겨 붙으면서 차세대 LCD 시장을 둘러싼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40ㆍ46ㆍ52ㆍ57인치’로 승부= 삼성전자가 이번에 확정한 8세대 기판에서는 46인치 기준 8장ㆍ52인치 기준 6장의 패널을 각각 생산할 수 있으며, 9세대 기판에서는 40인치 12장ㆍ52인치 8장ㆍ57인치 6장의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곧 삼성측이 7ㆍ8ㆍ9세대의 연이은 양산을 통해 ‘40-46-52-57인치’ 크기의 기판으로 시장의 표준화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선전포고’나 다름없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0인치에 이어 46ㆍ52ㆍ57인치까지의 크기를 확정함으로써 경쟁사보다 한 발 앞서 표준을 선점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40인치대 표준화 경쟁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 LCD 표준화 경쟁 서막= 삼성전자가 이번에 발표한 8세대 기판은 이미 올해 초 8세대 기판규격을 확정했던 샤프와 동일한 크기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계 LCD TV 시장에서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업체끼리 표준을 공유하게 되는 셈이다. 이는 8세대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현재 LG필립스LCD와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40인치대 경쟁에서 삼성진영의 46인치에 더욱 힘을 실을 수 있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42ㆍ47인치를 표준으로 내세운 LG측의 7세대 진영에 대만업체들이 잇따라 가세하면서 위기의식을 느낀 삼성전자가 8~9세대를 통해 새로운 승부수를 던진 것 같다”고 말했다. ◇경쟁사 “벌써 8~9세대까지…” 촉각= LG필립스LCD 등 경쟁업체들은 삼성전자의 이번 8~9세대 기판 크기 발표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시장은 언제나 가변적”이라며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이 일단 유리한 고지를 점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벌어지고 있는 7세대 표준경쟁의 결과에 따라 8세대 이후의 시장판도는 언제든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 2002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학술대회에서 6세대 규격으로 ‘1,370㎜×1,670㎜’로 제시했으나, 이후 5세대에서 6세대를 건너뛰고 바로 7세대로 넘어간 바 있다. 또 지난해 열린 SID 행사에서도 이번에 확정한 규격과는 다른 8세대 규격(2,300㎜×2,600㎜)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