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핵개발계획 시인"

캘리 특사 訪北때 밝혀… 韓·美 "대화해결 희망" >>관련기사 북한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농축 우라늄을 활용한 비밀 핵개발 프로그램을 시인했다고 한국과 미국 양국이 17일 오전(한국시간) 공식 발표했다. 미 국무부는 16일 저녁 (미국 현지시간) 리처드 바우처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북한이 이달초 켈리 특사의 방북시 핵무기 프로그램을 갖고 있음을 시인했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는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인 해결을 희망한다고 밝히고 북한은 핵개발 계획 동결을 골자로 한 제네바 협정과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준수하고 핵무기 개발 계획을 즉각 폐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숀 매코맥 백악관 대변인도 북한의 핵 개발은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1994년 제네바 기본합의를 "실질적으로 위반한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준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제임스 켈리 미 대통령 특사의 방북 직후 우리 정부는 그 사실을 공식적으로 통보받았으며 그 때부터 한ㆍ미ㆍ일 공조를 통한 문제해결을 위해 협의를 계속해오고 있다"면서 "김대중 대통령은 이 문제를 매우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개발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태식 외교부 차관보는 '북한 핵문제 관련 우리 입장'이라는 정부 공식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 문제를 포함한 모든 문제는 대화를 통한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면서 "현재 진행중인 남북간의 대화경로를 통해 북측에도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이 새로운 핵개발 의혹을 시인한 것은 대화를 통해 해결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보고 대화를 통해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수용토록 강력히 촉구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이달말 멕시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한ㆍ미ㆍ일 3국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사찰 수용을 유도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논의해 나갈 방침이다. 안의식기자 이상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