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혹한용 연계수송 화물차 개발

남북 철도, 대륙철도 연결 등에 대비한 혹한용 연계 화물수송 차량이 우리 기술로 개발됐다. 철도청은 16일 지난 2001년 남북 수송 전용 화물차 개발에 착수한지 2년 만에 한국 고유모델의 `표준궤간용 컨테이너 겸용 평판화차`의 개발을 완료, 시제차(1량)를 올 1월부터 경부선 부곡-부산간 노선에 투입, 수출입 컨테이너 운송 등 영업 성능을 검증중이라고 밝혔다. 연구개발비에 1억5,000만원이 투입된 이 연계수송 화물차는 차폭 2,800㎜(궤간 1,435㎜.표준궤)에 길이 15m 크기로, 최대 53톤의 화물을 실고 시속 120㎞까지 달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북한, 중국, 몽고지역 등 혹한지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제동장치 등 주요 부품은 영하 50℃에서 환경시험 검증을 완료했다. 또 대륙횡단 등 장거리 운송에 대비해 유지ㆍ보수 부담이 적은 무보수형(Maintenance Free)으로 제작됐으며 컨테이너도 40피트(feet) 1개, 20피트 2개, 10피트 4개 단위로 자유롭게 적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필요할 경우 북한, 중국, 몽골측 기관차와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고안됐으며 남북철도가 연결되는 대로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철도청 차량본부 박완기 팀장은 “새로 개발한 화물차량은 북한, 중국, 몽고 등 우리보다 춥고 악천후가 많은 곳을 장시간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내한성과 내구성을 크게 강화시켰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이어 “표준궤를 사용하는 남북한, 중국(TCR), 몽고(TMR) 철도와는 달리 광궤(1,520㎜)를 사용하는 러시아 철도(TSR)와 연결하기 위해 앞으로 가변궤간시스템 대차개발, 화물환적 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를 벌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준석기자 jshong@sed.co.kr>

관련기사



홍준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