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 해운업체 10개중 7개 유동성 위기 직면

대한상공회의소 조사 “30% 올해 안 경영한계 상황에 이를 듯”

20일 대한상공회의소(이하 상공회의소)는 작년 국내 해운업체 99개사의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익이 감소한 기업은 55개사고 평균 감소폭은 146%에 달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매출은 줄고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증가했기 때문으로 상공회의소는 분석한다. 작년 유동비율을 보면 전체의 75.8%가 100% 미만으로 집계 된 것에 올해는 56.6%로 집계돼 유동비율이 전년 대비 악화됐다. 기업의 단기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유통비율은 유동자산(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부채(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로 나눈 비율이다. 통상 100% 이하면 급격한 유동성 압박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상공회의소 관계자에 따르면 “해운물동량 급감, 운임 하락, 유가·원자재 상승 등으로 경영난에 빠진 해운업체들이 크게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원금 상환시기 도래, 이자비용 증가 등 부채 부담이 커져 유동성 확보에 비상등이 켜졌다”말했다. 상공회의소 측에서는 이러한 해운업 불황이 당분간 지속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실제 상공회의소에서 국내 해운업체 175개사를 긴급 조사한 결과 해운경기 회복 시점을 내년 하반기로 꼽은 업체가 72.6%나 됐다. 또한 해운업 경기가 올해 안에 회복되지 않을 경우 10개 중 3개는 경영 한계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조사돼 유동성 위기에 대한 우려가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사결과 해운업체들은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 정책과제로 ‘원리금 상환 유예’(49.1%)와 ‘선박 매입·대출상환 보증 등 유동성 확보 지원’(35.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해운업체가 유동성을 보강, 선박노후화에 대비하고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강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