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7월7일] 앙리 네슬레


[오늘의 경제소사/7월7일] 앙리 네슬레 권홍우 편집위원 ‘페린 락테(Farine Lactee).’ 네슬레가 1867년에 내놓은 유아용 식품의 상품명이다. ‘가루우유’라는 뜻을 지닌 이 제품의 개발자는 앙리 네슬레(당시 53세ㆍHenri Nestle). 잘 나가는 약제사 겸 발명가였던 그는 왜 새로운 사업에 뛰어들었을까. 14남매 중 열한번째로 태어났으나 성년이 되도록 살아남은 형제 자매는 7명뿐이었다는 아픈 기억 때문이다. 독일 프랑크푸르크에서 유리업을 하던 집안일을 승계하지 않고 유명 약제사 밑에 들어가 4년간 도제수업을 받은 것도 사람을 살리고 싶었던 마음에서다. 20대 후반 스위스 베베로 이주한 그는 프랑스계가 많은 지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하인리히(Heinrich)라는 이름을 앙리로 바꾸는 등 온갖 노력을 기울인 끝에 사업에서도 뿌리를 내렸다. 늦은 결혼(46세) 후의 그는 다시금 유아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발명에 빠져들었다. 소젖과 밀가루ㆍ설탕을 혼합한 신제품 페린 락테는 모유를 먹지 못해 가망이 없다고 포기한 신생아들을 살려내며 유럽 전역을 넘어 미국에도 병당 50센트에 팔려나갔다. 부와 명성이 쌓일 무렵 그는 회사를 100만스위스프랑에 매각하고 은퇴, 시골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소규모 사업을 벌이다 1890년 7월7일 심장마비로 76년 생을 마쳤다. 오늘날 네슬레는 거대기업이 됐지만 화려한 이면에는 비난도 적지 않다. 과대 광고와 정치적 이유에 따른 분유공급 중단 등의 구설수로 전세계적 불매운동에 휘말린 적도 있다. 독일어로 ‘둥지’라는 뜻을 지닌 ‘네슬레’라는 회사명과 큰 새가 작은 새를 품은 로고는 아직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지만 정작 인간을 아끼고 사랑했던 설립자의 뜻은 매출 1,060억달러, 순이익 105억달러라는 금전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