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GCC "요르단·모로코 회원국 승인 검토"

걸프협력협의회(GCC)가 아랍 왕정국가인 요르단과 모로코를 회원국으로 가입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압둘라티프 알 자야니 GCC 사무총장은 10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GCC 회담 후 기자회견을 통해 두 국가가 기존 GCC 국가들에 비해 경제적으로 취약하지만 회원국으로 받아들일지 여부를 검토 중이라 밝혔다. 그는 또 "회원국 외무장관들이 요르단과 모로코의 외무장관과 가입에 필요한 절차를 마무리 짓기 위해 회담을 가질 것이다"라며 "하지만 가입이 승인될지 여부와 어떤 회원국 자격으로 가입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GCC는 페르시아만 지역에서 왕정 체제를 유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등 6개국의 협력체로 지난 1979년 이란 호메이니 혁명으로 인한 왕정 붕괴와 1980년 이란ㆍ이라크 전쟁 등 일련의 정치적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창설된 후 지금까지 강력한 결속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튀니지와 이집트 대통령을 퇴진시킨 아랍권 민주화 운동의 걸프만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GCC 차원에서 공동 대응해왔다. 바레인 시위가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는 각각 병력 1,000여명과 경찰 500명을 파견해 바레인 시위를 잠재웠다. GCC가 요르단과 모로코의 가입 검토를 발표한 이유도 아랍권 민주화 운동에 왕정 국가들이 함께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요르단의 한 전문가는 "GCC는 보수적 성향의 왕정 클럽이다"라며 "이들은 이란과 바레인 민주화 시위, 정치적 개혁을 향한 부정적인 시각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전문가는 "GCC는 요르단과 모로코 왕정체제가 붕괴하지 않도록 도울 것"이라며 "하지만 이 두 나라가 GCC의 대외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