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역협력통해 철강무역장벽 넘자

우리 철강업계는 지난해 미국, EU, 중국 등 세계 주요 시장에서 혹독한 시련을 겪어야 했다. 이들 3개 지역 철강수출량의 80% 이상이 세이프가드라는 수입규제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지난 해 전세계 철강수출시장에서 유일하게 증가한 동남아지역에도 수입규제가 전이되는 양상이다. 그 중에서도 중국의 철강 수입규제는 우리의 철강수출에 최대 난관임을 부인할 수 없다. 전 세계 철강수요의 25%를 차지하는 중심지인 동시에 세계 최대 철강생산국으로서 철강설비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수출시장으로서의 메리트가 풍부한 반면 중국의 철강 수입규제 파고가 한층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동남아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연간 철강수입량이 2,000만톤으로 미국의 수입량에 버금가는 중요한 시장으로 떠 올랐다. 따라서 이 지역의 수입규제 가시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일본시장의 양면성도 세심한 전략이 요구된다. 일본에 대한 철강수출은 연간 200만톤으로 수출시장으로서는 3대 주요지역이다. 하지만 연간 철강수입량의 60%를 넘는 600만톤을 수입하고 있어, 철강 무역수지 적자액만도 22억달러에 달한다. 1년후 철강 양허관세가 무세화되면 일본으로부터 수입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밖으로는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통상마찰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안으로는 외국의 불공정무역관행에 대한 철강산업보호조치를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안들은 단기적 방안이며 국가간 통상마찰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근원적이고 장기적인 대응방안으로서 이러한 문제들을 송두리째 해결할 근본전략을 구상할 시점이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주요 철강수출시장이 인접해 있는 동북아 철강협력체제는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동북아 철강협력체제가 한국, 일본, 중국을 중심축으로 가시화되면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러시아, 동남아까지도 포용할 수 있다. 철강무세화를 중심으로 한 개방정책과 세계 6위의 철강생산국으로서 지역간 무역장벽을 허물고 시장을 통합하는 지역협력체제에 과감히 눈을 돌릴 때다. <김성우(한국철강협회 통상팀장)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