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회창총재에 대한 공격을 자제해 온 국민회의가 29일 드디어 李총재를 겨냥, 공격의 포문을 열었다.국민회의는 이날 오전 당사에서 조세형총재권한대행 주재로 당 8역회의를 열어 지난해 광명을 보선은 유례없는 금권선거라고 주장한 李총재의 발언을 문제삼은 뒤 국세청 불법모금 사건까지 거론하며 李총재를 비난했다.
정동영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광명을 선거는 법적으로 불법타락 혐의로 소추된 적이 없는 만큼 이총재의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다』며 『李총재는 여당의 총재권한대행에 대해 근거없이 선동한 것을 즉각 취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鄭대변인은 李총재를 직접 겨냥, 『李총재는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도 170억원, 최소 500억원대의 불법자금을 재벌들로부터 거둬 불법으로 사용한 세풍사건의 궁극적인 책임자』라며 『李총재는 원천적으로 부정선거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이 아니다』라고 비난했다.
더구나 鄭대변인은 『불법선거운동의 주체인 李총재가 자기당 후보의 불법선거운동 행위는 눈을 감고 그 책임을 여당후보에게 떠넘기며 실체도 모호한 「중대결심」운운하는 것은 재보선에서 패배할 경우 당내에서의 정치적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전략적 행동으로 간주한다』며 「선동정치」의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鄭대변인은 선관위의 투표호소 가정통신문 발송을 李총재가 관권선거로 공격한 것과 관련해서도 『어떤 경우에도 높은 투표율은 그 나라의 민주발전의 바로미터』라며 『한나라당은 투표참여 독려를 관권선거로 매도하는 비이성적, 비상식적, 정략적인 행동을 즉각 중지하라』고 주장했다.
여야 대화 복권후 李총재 비난을 자제해온 국민회의가 이처럼 공세를 재개한 것은 우선 趙대행이 출마한 작년 광명을 보선까지 거론하며 李총재가 금권·관권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등 강경자세로 나오는데 대해 경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보인다. 李총재가 이번 재보선에서 패배할 경우 당내 비주류를 중심으로 한 인책론이 고개를 들 것을 예상, 선거결과에 승복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나아가 여야 총재회담의 합의사항마저 깰지 모른다는 분석에 따라 미리 쐐기를 박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관측된다.【황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