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하이닉스 처리' 채권단 칼뺐다

■ 우량-非우량사로 분할"독자생존 현실성 없다"… 재매각도 추진 채권단이 하이닉스반도체 처리에 초강수를 들고 나왔다.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로의 매각 이후 후속대책 마련에 부심하던 채권단은 결국 하이닉스의 독자생존 방안은 현실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채권단 주도로 사업분할 및 재매각 등을 조기에 추진하기로 했다. 채권단은 특히 하이닉스 이사회의 양해각서(MOU) 거부로 매각이 무산됐던 전례를 거울삼아 채권 조기회수를 통한 법정관리 등을 배제하지 않은 채 하이닉스를 강도높게 압박할 것으로 보여 하이닉스는 벼랑 끝으로 몰릴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 선 사업분할 후 재매각 추진 채권단은 우선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축으로 하이닉스의 사업부문을 분리한 뒤 조기에 매각을 재추진할 방침이다. 채권단은 메모리 부문 매각이 일단 무산됨에 따라 매각대상과 방식을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한다는 인식 아래 구체적인 방안마련에 들어갔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하이닉스가 주장하고 있는 독자생존 방안은 현실성이 없다"며 "회사를 우량ㆍ부실 사업으로 쪼개 원매자가 있으면 국내외 업체를 가리지 않고 조기에 협상에 들어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의 실사기간을 최대한 단축시켜 조기에 강도높은 구조조정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강원 외환은행장은 이와 관련해 "하이닉스가 독자생존하려면 반도체 가격의 지속적인 안정, 자구계획 이행, 채권단 부채탕감, 출자전환 등 여러 조건들이 맞아야 한다"며 "이런 조건들이 전제되지 않은 채 독자생존을 추진하려면 기업가치와 대외신인도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행장은 이어 "하이닉스 이사회에서 부결된 MOU 내용은 최선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안이었다"며 "채권단 논의와 외부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입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 거부하면 채권회수 통해 법정관리 채권단은 특히 이 같은 방침을 하이닉스가 거부하면 곧바로 법정관리에 집어넣겠다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하기로 했다. 조기 출자전환과 이사회 개편 등을 추진하려면 앞으로도 최소 한달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법정관리를 무기로 하이닉스측을 압박하겠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하이닉스가 이사회 멤버를 교체하기 전에라도 채권단이 구조조정 방안을 확정해 승인을 요구할 경우 이를 거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채권단은 지난해 10월 하이닉스에 대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을 적용해 3조원 출자전환, 6,50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 약 70% 안팎의 부채탕감 등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채권단은 특히 이 과정에서 회사채의 만기를 3년간 연장하는 등 채권의 조기 회수로 인한 유동성 부족사태를 막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해뒀다. 그러나 만일 채권단이 하이닉스와의 마찰 끝에 이 같은 정상화 방안을 해제할 경우 하이닉스는 채권단이 일제히 자금회수에 들어가면서 조기에 법정관리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진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