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계의 사설/6월 13일] 중국 올림픽 규제의 모순

지난주 중국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외국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규제 목록을 발표했다. 통제가 불가능한 쓰촨(四川) 대지진의 여파가 어느 정도 가라앉자 자신들이 통제할 수 있는 대상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이제 베이징 올림픽을 관람하려고 하는 수많은 스포츠 팬들은 비행기 티켓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의 규제 목록을 챙겨야 할 형편이다. 올림픽 관람객들은 중국에 해로운 인쇄물ㆍ사진ㆍ음반ㆍDVD 등 어떤 것이든 들여와서는 안 된다. 종교적ㆍ정치적 문구가 쓰인 현수막이나 슬로건도 금지됐다. 중국 정부의 사전 허가를 받지 않은 시위나 행진도 마찬가지다. 정신병ㆍ성병을 앓고 있는 이들은 아예 입국금지다. 이런 규제는 철저히 주관적이며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올림픽 개최지에서의 정치적 행위를 막아오기는 했다. 이는 보편적 인류애를 실현하고 잠시나마 세계의 단합을 추구하려는 목적이므로 충분히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올림픽의 비정치성을 독재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중국은 올림픽 유치 당시에 인권신장을 약속했다. 하지만 지금 중국이 가는 길은 정반대다. 최근 중국 정부는 반중국시위로 기소된 티베트인들을 변호한 인권변호사 두명을 사실상 추방했다. 또 부실하게 지어진 학교가 지진으로 무너지는 바람에 자녀가 사망했다며 비폭력시위를 하던 100여명의 부모들을 강제로 해산시키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지진의 여파로 한동안 느슨했던 언론인 및 자원봉사자에 대해서도 다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현지 언론은 자녀를 잃은 학부모들의 시위를 자유롭게 취재할 수 없었다. 해외 매체들도 중국 정부의 제재 때문에 올림픽 취재를 제한 받을 것이라고 불평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전세계를 올림픽에 초대했다. 그러면서도 정작 방문객들 또는 자국민의 가장 기본적인 자유를 침해하려는 것은 커다란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지난주에 IOC의 한 관계자는 “베이징 올림픽은 ‘선의의 힘’으로 가득한 축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의 확신이 정말 현실화되려면 중국은 IOC 위원회와 서방의 정부들, 온 세계가 지켜보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스스로의 모양새가 나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