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교부, 盧회견에 폭탄 맞은듯

노무현 대통령은 14일 기자회견에서 외교부 직원들의 `부적절한 발언`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바로 안색을 바꾸었다. 노 대통령은 시종 단호한 어조로 인사조치가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노 대통령은 특히 이번 사건을 항명 성격을 넘어서, 대통령의 정책을 의도적으로 방해한 사보타지(태업) 수준의 사태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내비쳤다. 회견을 지켜보던 외교통상부 관계자들은 폭탄을 맞은 듯 충격을 받은 분위기다. 더욱 당혹스러운 점은 이번 징계 결정 과정에서도 외교부가 사실상 배제됐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앞으로 협의해서 할 것"이라면서도 정보유출 실태 등을 열거하며 징계 결심이 이미 굳었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런데 그 순간까지 외교부는 민정수석실의 조사보고서를 전달 받지도 못했다. 이에 대해 윤영관 장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민정수석실의 조사보고서를 받는 데로 노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응당한 징계를 하겠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대통령의 노선과 정책 방향을 실현하는 손과 발의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통해 국민에 봉사하는 게 외교부 직원의 사명"이라며 "국민께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때문인지 윤 장관이 마음을 비웠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가 조사와 징계를 사실상 주도, 장관의 징계권이 유명무실해진 데다 "직원을 보호하지 못했다"는 외교부 일각의 여론도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의 표명이 가져올 파장이나 윤 장관의 합리적 성격을 고려할 때 총선 전 사퇴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대부분이다. 징계 대상자 중에 윤 장관이 높이 평가하는 직원도 있어 뒷수습을 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윤 장관은 이날 기자가 거취를 묻자 "이번 사건부터 정리하는 게 우선"이라며 직답을 피했다. 노 대통령이 이날 "대미 외교 과정에서 일부 문제된 공무원"이라며 북미 외교라인을 직접 겨냥함에 따라 이 부서를 중심으로 거센 인사 폭풍이 몰아칠 것이라는 소문도 확산하고 있다. 북미 외교 라인은 외교부 북미국ㆍ주 미 대사관 등에 근무한 외교부 직원들을 일컫는 말로 최고의 엘리트 코스이다. 징계 대상에 오른 조현동 과장과 위성락 북미국장도 주 미 대사관에 함께 근무했었다. 대미 외교를 독점한 일종의 `조직 내 조직`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파장이 클 수 밖에 없다. 외교부 내에 북미라인에 대한 질시나 비판적 인식이 많음에도, 징계 폭이 커지면 대미 외교의 기초가 흔들리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함께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안준현 기자 dejavu@hk.co.kr>

관련기사



안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