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올 유동성 7500억위안 증발

블룸버그 신용경색 여파 전망<br>최대 3조 위안 영향 받을 수도<br>중 "돈 풀기 보다 금융개혁 강화"


중국에서 단기유동성 위축으로 올해 베트남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7,500억위안(약 140조원)의 유동성이 증발할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됐다.

블룸버그는 8일 15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중국의 유동성 상황을 조사한 뒤 이같이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일각에서 최대 3조위안에 이르는 유동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고 전했다. 루이스 쿠이즈스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재정과 환율정책 등으로 충격을 완화하면 거시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이미 중국의 신용경색은 하방 리스크를 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시장에서는 중국의 유동성 공급지표인 사회융자총액과 위안화 신규 대출, 2ㆍ4분기 GDP 성장률 등 이달에 쏟아지는 핵심 경제지표들에 따라 중국 경제전망을 재수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지난달 신용경색의 여파로 위탁대출과 채권발행 등을 포함한 사회융자총액은 1조~1조6,000억위안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6월 중국의 사회융자총액은 1조7,800억위안을 기록했다. 또 6월 위안화 신규 대출도 8,000억위안으로 전년동월의 9,198억위안에 비해 1,198억위안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야오웨이 소시에테제네랄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신용경색 사태가 불거진 후 올해 사회융자총액 전망치를 종전의 22조위안에서 19조위안으로 하향 조정했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돈을 풀기보다 금리자유화와 같은 경제개혁을 통해 경제체질 개선을 시도하고 있는 만큼 성장둔화는 예상보다 더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오는 15일 발표될 예정인 중국의 2ㆍ4분기 GDP 성장률은 전분기보다 0.3%포인트 하락한 7.5%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동성 지표가 둔화되고 있지만 중국 지도부는 대규모로 돈을 푸는 정책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5일 성명에서 "자본의 부적절한 배치가 경제개혁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금융과 기업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겠지만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는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광야오 재정부 부부장도 "금융 시스템 유동성은 충분하다"면서 "그림자금융과 지방정부 부채 등 중국 경제의 리스크에 상당한 경계심을 갖고 실태파악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역설했다. 금융개혁의 고삐를 더욱 죄겠다고 뜻이다.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