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당국 "은행권,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매각 앞당겨라"

은행권에 압박수위 높여

금융감독 당국이 은행들의 지지부진한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매각작업을 서두르라며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난항을 겪고 있는 은행들의 부실 PF 매각 작업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감독 당국은 최근 시중은행장들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부실 PF를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난 2일 금융감독 당국으로부터 캠코에 PF를 적극 매각하라는 연락을 받았다"며 "정부가 은행권에 PF 매각을 계속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캠코에 구조조정기금을 설치하고 이달부터 4조7,000억원 상당의 금융권 부실 PF를 사들일 예정이지만 은행권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이처럼 금융감독 당국이 직접 은행에 PF 매각을 독려하는 것은 은행권이 캠코의 PF 매입조건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시간 끌기에 나서는 것을 차단하고 구조조정 작업에 속도를 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금융위기의 뇌관으로 지목돼왔던 저축은행의 부실 PF는 캠코 매각으로 일단락됐지만 은행권의 PF는 전혀 진척되지 않고 있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캠코의 매각안에 따르면 채권액의 15~20% 정도만 받고 헐값에 매각해야 하는데 이는 불합리한 것이라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2월 말 현재 은행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52조5,000억원으로 연체율은 1.07%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캠코는 미리 쌓아둔 대손충당금과 캠코의 손실예상금액을 제외한 가격의 절반만 보상해준다는 계획"이라며 "PF의 특성상 개발이익 부문 등을 감안해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캠코처럼 단순하게 계산한다면 자산을 팔 수가 없다"고 밝혔다. 반면 캠코는 은행들의 잇속 챙기기가 심각하다며 맞서고 있다. 일부 은행들은 향후 부동산 경기회복 등을 감안해 부실 자산을 매각하기보다는 보유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특히 PF 매각에 따른 손실을 장기간에 걸쳐 나눠 반영할 수 있도록 최종 조율하고 있어 은행에 매우 유리하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