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의 소득이 두 배로 늘어나지는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5일 LG경제연구원은 '한국 맞벌이, 가사노동 시간이 부족하다' 보고서를 통해 맞벌이 가구 소득은 외벌이 가구보다 15%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맞벌이 여성들이 장시간 근로 탓에 가사노동의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한국의 맞벌이 주부는 퇴근 후 육아, 가사 등에 하루 평균 3.7시간을 쏟는다. 일본의 4.8시간, 미국의 4.5시간에 비해 한참 부족하다.
문제는 부족한 가사노동 시간 때문에 지출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식사준비를 할 시간이 없어 외식하거나 아이를 돌볼 사람이 없어 육아도우미를 고용함으로써 외벌이보다 한 달 평균 20만원을 더 써야 한다.
가사노동을 포기하는 만큼 눈에 보이지 않는 효용도 감소한다. 집 청소가 안 된 지저분한 상태로 내버려둔다든지, 빨래를 자주 하지 못한다든지, 어린이를 혼자 두어도 일종의 비용이 발생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런 현실 때문에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 가구에 비해 70만원의 효용을 손해본다고 분석했다. 이를 고려하면 맞벌이와 외벌이의 소득 격차는 겨우 15%에 불과하다는 추산도 했다.
부부가 함께 벌어도 혼자 일하는 가구에 비해 실질 소득 수준이 크게 높지 않은 것이다.
미국은 같은 계산법을 적용해보면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50%나 더 버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격차는 한국 여성의 낮은 임금수준과 장시간 근로 때문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정부의 보육비 지원 정책이 한시적 도움은 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장기간 근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시간제 근무, 유연 근로제 등 탄력적 근무방법의 도입을 제언했다./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