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새정부 출범 107일만에 내각 일괄사의

개각등 국정쇄신 작업 본격 착수

류우익 대통령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에 이어 이명박 정부의 초대 내각이 쇠고기 파문에 대한 책임을 지고 10일 일괄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이 개각을 포함한 국정쇄신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청와대는 국정공백을 최소화한다는 원칙을 세웠지만 후속 인선에 대한 인사검증 기간 등을 고려할 때 인사개편이 이르면 다음주 초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수석진의 경우 2~3개 수석을 제외한 모든 수석들의 교체 및 자리이동이 검토되고 있다. 내각은 농림수산식품부ㆍ보건복지가족부ㆍ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경질이 확실시되며 이외에 경제부처 장관을 포함한 5~6개 부처가 개각 대상으로 알려졌다. 한승수 총리는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이 대통령에 대한 주례보고에서 쇠고기 파문의 책임을 지고 자신을 포함한 내각의 일괄사의를 전달했다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 류 대통령실장과 수석들이 지난 6일 사의를 표명한 데 내각이 가세함으로써 새 정부 출범 이후 107일 만에 첫 개각과 함께 청와대 진용의 보완ㆍ개편 등 대폭적인 인적쇄신이 불기피해졌다. 청와대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빚어진 인사파문이 국정운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판단에 따라 도덕성과 업무능력을 중심으로 개각 인선을 하되 정치인과 관료를 중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지역안배를 위한 탕평인사와 여당 밖 시민사회ㆍ정치세력의 등용을 요구해 이번 인사의 폭과 수준이 예상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내각이 일괄사의를 표명했지만 예정된 개각 등 인사쇄신 때 처리할 것이며 당분간은 국정공백을 막기 위해 장관들이 현직에서 일할 것”이라며 “조각 수준의 전면개각은 상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이 대변인이 "인적쇄신은 (쇠고기 파문의) 상황을 정리하는 마지막 절차가 될 것"이라고 말한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인선은 촛불시위 등 민심의 흐름과 일련의 민생대책이 나온 뒤 이뤄질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