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가중앙의료원 설립 불투명

부지선정·예산확보 난항속 기능·규모등도 논란

공공의료의 중심 역할을 맡게 될 국가중앙의료원 설립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국가중앙의료설립추진단을 구성, 중앙의료원 건립에 본격 나서고 있으나 부지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예산확보도 여의치 않아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이에 따라 공공의료 대폭 확충이라는 당초 계획에도 적잖은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 내 일각에서 중앙의료원의 기능과 규모 등을 놓고 논란이 야기되고 있어 설립 자체가 불투명해지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대두되고 있다. 중앙의료원 설립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양질의 저가 의료서비스 제공과 함께 지방공사의료원ㆍ보건소 등 공공의료기관 지원 등을 위해 국립의료원을 확대 개편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참여정부 공약으로 채택된 것이다. 국립의료원은 낙후된 시설과 협소한 공간, 비효율적 운영 등으로 공공의료 중심기관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복지부는 중앙의료원의 5만평 규모 부지확보를 위해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물색하고 있으나 땅값상승 등으로 막대한 규모의 예산투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당초 후보지로 거론됐던 경기도 모지역의 경우 부지매입에만 3,500억원 가량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올 상반기 중 부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나 마땅한 곳을 찾지 못해 이도 유동적인 상황”이라며 “부지가 조기 선정되더라도 건립까지는 빨라야 4~5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