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의약품에도 '전자태그' 달린다

2015년까지 전체 50%에… 도입社엔 세제지원 추가 검토<br>정부, 제약+IT융합 발전전략


오는 2015년까지 전체 의약품의 50%에 전자태그(RFID)가 부착돼 의약품의 확인ㆍ추적을 쉽게 하고 유통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RFID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제약회사나 도매상에 대한 세제지원도 추가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지식경제부ㆍ보건복지부ㆍ교육과학기술부ㆍ식품의약품안전청 등 4개 부처는 31일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약+정보기술(IT) 융합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제약산업 생산ㆍ유통ㆍ개발 등의 과정에 IT를 결합시켜 제약산업 경쟁력을 높이려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정부는 2015년까지 전체 의약품의 50%까지 RFID를 부착하기로 했다. RFID는 사람ㆍ물품 등의 고유정보를 저장한 '태그'와 무선으로 인식하는 '리더'로 구성된 확인ㆍ추적시스템이다. 정부는 업계의 초기 도입 비용부담을 덜기 위해 지경부 주도로 RFID 장비와 시스템 등을 일괄 제공하는 민간 주도의 리스형 전문회사 추진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 소비자들이 RFID와 휴대폰을 이용해 의약품의 유효성과 안전성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의약품 '안전정보제공시스템'도 구축된다. RFID가 확산되면 현재 20%선에 불과한 불량의약품 회수율을 끌어올릴 수 있으며 잘못된 약이 지급되는 실수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15년까지 50%의 약에 RFID를 부착할 경우 경제적으로는 9,1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4,100억원의 부가가치를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지난해 시범적으로 의약품에 RFID를 부착한 한미약품은 적정재고 유지, 배송비용 절감, 반품률 감소 등으로 연 106억원의 절감 효과를 봤다. 신약개발과 의료에 IT를 접목하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됐다. 교과부는 바이오기술(BT)과 IT, 의학과 신약개발을 아우르는 산학연 그룹을 구성하고 이들을 연계하는 사이버 임상연구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IT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초고속유전체분석장비를 개발하고 신약개발과 개인맞춤의학에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도 조성할 방침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계약 및 수출 방식 등에서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전자통관시스템 수출을 촉진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업종별ㆍ산업별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고 융합의 시대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