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청와대, 인적ㆍ조직개편 `속도조절'나서나

한미FTA 대국민 담화는 하지 않을 듯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진용을 구축하기 위한 인적ㆍ조직개편에 속도조절을 하고 있는 모양새다. 당초 여권 내에서는 지난 10월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 큰 격차로 패배하면서 청와대 개편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미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백용호 정책실장은 책임을 지고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상태다. 이에 따라 그동안 국정의 가장 큰 현안이었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이달 안으로 청와대발(發) 쇄신 개편이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하지만 참모진은 아직 `시기상조'라고 고개를 젓고 있다. 24일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어차피 인적ㆍ조직개편은 한다고 했고 실제로 할 예정이지만 지금은 나설 때가 아니다"라면서 "예산안 등이 어느 정도 가닥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당초 정기국회가 끝나는 12월9일에 맞춰 청와대 개편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현재 분위기로는 내달 중순이나 말로 늦춰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여당의 한미 FTA 강행 처리로 정국이 얼어붙으면서 내년도 예산안 통과가 법정 시한을 넘길 가능성이 매우 커졌기 때문에 현 참모진이 예산까지는 마무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색 국면에서 한 박자 쉬어가자는 생각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장이 교체될 경우 청와대는 `제4기 체제'에 들어가게 된다. 후임 대통령실장으로는 이 대통령의 오랜 친구인 송정호 청계재단 이사장과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유력한 후보군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대 총장을 지낸 박범훈 교육문화수석비서관도 거론되고 있다. 꾸준히 하마평에 올랐던 박형준 청와대 사회특보는 부산 수영구 출마로 가닥을 잡았다는 후문이다. 정책실장 자리는 이번에 따로 임명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리되는 기류다. `대통령실장-정책실장'으로 이원화됐던 참모조직을 대통령실장 단일체제로 일원화해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조직개편은 홍보수석실에 일부 정책홍보 관련 부서를 편입하고, 대변인실을 강화하는 동시에 정무수석실 인력을 보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FTA 통과 이후 한때 검토됐던 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나 기자회견은 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이 전날 긴급 관계 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했던 것처럼 다른 회의 석상이나 다음 주 비준동의안에 서명하면서 자연스럽게 한ㆍ미 FTA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를 대신할 방침이라고 고위 관계자는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