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은행 조기 재매각은 쉽잖을듯

감독당국도 매각승인 명분 얻어 홀가분<br>국민·하나銀등 인수전 재점화 가능성도



법원이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 사건에 대해 무죄로 판결함에 따라 외환은행 매각을 가로막는 최대 걸림돌이 제거됐다. 외환카드 주가조작도 법원 2심에서 무죄 판결이 나와 외환은행 매각의 발목을 잡던 법적인 불확실성이 모두 해소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법적인 걸림돌은 제거됐지만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은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국내외 금융시장이 불안하기 때문에 선뜻 매수하겠다는 곳이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매각 가로막는 ‘법적 불확실성’ 해소=외환은행 매각의 최대 걸림돌이자 매각의 논란의 핵이었던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에 대한 법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됐다. 론스타는 법원의 이번 결정으로 ‘도덕적인 비난’에서 자유로워졌을 뿐만 아니라 외환은행 매각에도 여유를 갖게 됐다. 금융감독당국도 한시름 놓는 분위기다. 금융감독당국은 지금까지 외환은행 매각을 위해서는 법적 다툼이 벌어지고 있는 ‘외환카드 주가조작’ 문제와 ‘외환은행 헐값매각’ 시비 두 가지 모두 해결돼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금융위원회는 외환은행 헐값 매각 1심 판결에서 ‘무죄’가 선고된 것과 관련, “론스타가 적격 투자자를 찾아오면 매각을 승인해줄 것”이라며 “현재 외환은행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진행 중인데 헐값 매각 의혹이 무죄로 드러난 만큼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서 ‘비적격’으로 판정이 나올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1심 재판결과 때문에 검찰이 항소할 가능성이 커 결국 대법원에 가서야 최종 결론이 나오겠지만 매각 승인을 담당하고 있는 금융감독당국이 매각 승인에 대한 법적인 명분을 얻게 됨으로써 앞으로 외환은행 재매각 추진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매각 속도 내기 어려울 듯=이번 판결로 론스타 입장에서는 외환은행 매각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실제로 론스타는 HSBC와의 계약파기 이후 유럽계 투자은행(IB)을 새로운 자문사로 선정, 인수 희망 대상자들을 상대로 물밑 접촉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환은행도 은행장 직속으로 새로운 주인을 찾기 위한 실무작업반(TFT)을 구성해 재매각 작업에 시동을 걸어놓은 상태다. 하지만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재매각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등으로 외환은행 인수를 희망하는 인수자들의 돈줄이 말라 자금조달 상황이 여의치 않은데다 외환은행 주가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외환은행의 주가는 24일 현재 5,500원으로 HSBC와의 계약이 파기된 지난 9월19일(1만1,350원)에 비해 5,850원(51.5%)이나 하락했다. 론스타가 HSBC와 체결했던 매각 가격 1만7,725원에 비해서는 3분의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HSBC가 1만2,000원대로 가격을 낮춰달라고 요구한 데 대해 론스타가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한 것을 고려하면 1만원 이하로 가격을 낮춰 매각을 추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은행 인수전 재점화 가능성=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등 외환은행 인수 후보들이 자금난과 적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긴 하지만 인수경쟁이 다시금 활발해질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2006년 외환은행 인수 계약까지 체결했다가 문턱에서 물러섰던 국민은행은 이번 외환은행 관련 재판결과에 대해 시장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공격적으로 인수전에 뛰어들긴 힘들지만 상황이 많이 호전됐다”며 “진행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이나 산업은행 등도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관심의 끈’을 놓지 않는 모습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인수 구도가 구체화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글로벌 신용경색과 통화옵션 관련 손실 문제 등이 어느 정도 진정국면에 들어서게 되면 외환은행 매각이 활기를 띨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