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경기 나빠질수록 자살률 높다? 사실로!

‘경기가 불황에 빠질수록 자살하는 사람도 늘어난다’라는 막연한 추측이 사실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미 공중보건학회에서 발간하는 ‘미국 공중보건저널’에 경기 부침에 따라 자살률도 달라진다는 내용의 논문을 게재했다. CDC 연구진은 논문에서 25~64세의 미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1928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 경기사이클과 미국내 자살률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자살률이 경기호황기에는 떨어진 반면 불황기에는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대공황 발생 이전인 1928년 자살자 수는 10만 명당 18명이었지만 대공황 시기인 1933년에는 10만 명당 22명으로 증가했다. 또 뉴딜정책 종료 시기인 1937~38년, 석유파동이 일어났던 1973~75년, 더블딥(이중침체) 시기가 이어졌던 1980~~82년에도 자살률이 상승했다. 반면 고성장과 저실업이 이어졌던 2차 세계대전 시기인 1939~45년에는 자살률이 떨어졌으며 장기호황기였던 2000년에는 자살률이 사상최저치로 떨어졌다. 제임스 머시 CDC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경제가 어려울 때 추가로 자살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의회나 관련 정책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