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플러스] 기고-금리 상승기 투자 전략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위험관리 강화해야

수익 조금 낮더라도 손실 가능성 줄여야 복리효과 가능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펀드·롱쇼트펀드·ELS 관심 둘만

김정호 우리투자증권 상품전략본부장 상무


금리 수준이 높았던 시절 채권 투자로 두 자리수의 수익률을 얻었던 때가 있었다. 반면 브릭스 펀드 열풍이 불었을 때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이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저성장 기조가 시작됨에 따라 투자자들의 눈높이가 현실에 맞게 점차 낮아졌다. 이렇게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중위험·중수익 상품을 찾는 수요도 지난 수 년간 증가했다.

이제 다시 시장의 국면이 바뀌어 금리 상승기에 들어왔다.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상품이 출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대한 수요가 꺾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는 대목이다.


그러나 결론을 미리 말하자면 여전히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우선, 금리가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절대적인 금리 수준이 낮기 때문에 금리형 상품의 매력이 아직 높지 않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어 그렇다고 고위험 상품에만 기대기에는 불안하다.

오히려 금융환경의 변곡점에서는 투자 방망이를 짧게 잡고 위험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중위험·중수익 상품에 투자하는 것과 같이 수익이 조금 낮더라도 손실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면 복리효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더 나은 투자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시장상황에서 관심을 둘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는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형 펀드, 롱숏펀드, 지수형 주가연계증권(ELS) 등이 있다.

관련기사



우선 경제 회복 단계에서는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형 펀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채권 가격은 금리와 역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금리 상승기에 채권에 투자할 경우 자본손실을 볼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 상승기에는 채권을 주요 투자대상으로 하는 금융상품의 전망이 긍정적이지 않다. 그러나 만약 금리 상승이 견실한 경제성장에 따른 과정이라면, 기업의 튼튼한 기초 체력을 바탕으로 신용위험이 낮아지기 때문에 회사채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과거 경제가 바닥에서 회복되는 단계에서는 국채 금리가 오르더라도 하이일드 채권의 신용 스프레드가 오히려 축소되면서 자본이득을 얻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채권형 상품 중에서는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형 펀드를 금리 상승 시기에 고려할 수 있는 대표적인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볼 수 있다. 최근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주요 글로벌 하이일드 펀드는 만기가 짧은 채권과 변동금리부 채권인 시니어론을 편입하여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을 낮추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

메가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는 롱숏 펀드도 관심이다. 주식을 주요 투자 대상으로 하는 중위험·중수익 상품 중에서는 롱숏 펀드가 대표주자다.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주식을 매수하고,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주식 및 지수선물을 매도하여 주가의 방향과 관계없이 시장중립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최근 롱숏 펀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제한된 국내 시장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투자 수요를 끌어들이기 위해 투자 지역을 아시아 등지로 확장한 펀드가 출시되고 있다. 롱숏 펀드는 금리 상승기에도 시장의 방향성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금융 시장에서 메가 트렌드를 형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수형 ELS도 금리 상승기에 투자하기 적절한 중위험·중수익 상품이다. 일반적으로 주식형펀드는 주가 또는 주가지수가 상승해야 수익이 발생하지만 조기상환형 ELS는 주가가 일정 수준을 초과 하락한 적이 없으면 정기예금 대비 2~4배의 수익이 발생하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ELS는 금리가 상승할수록 더 높은 금리의 채권이 편입되어 ELS 수익률도 올라가기 때문에 금리 상승시기에 상품성이 좋아진다.

ELS는 구조화상품이라는 특징상 채권과 옵션으로 구성돼 있다 보니 여러 가지 옵션을 활용해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수익구조의 맞춤형 상품으로 설계할 수 있다.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써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품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조기상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최근 원금손실(Knock-in) 조건과 첫 조기상환 조건을 낮추어 안정성을 강화한 상품이 투자자들에게 인기다.

세상에는 공짜 점심이 없듯이 위험을 낮춘 만큼 수익에 대한 기대 수준도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중수익이라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투자의 세계는 복리의 세상이기 때문에 손실을 보지 않고 안정적인 수익을 꾸준히 쌓아간다면 오히려 장기적으로 더 높은 투자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투자 성과평가는 위험대비 수익으로 평가하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