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남전자] 회생 법정관리에 달렸다

아남전자가 최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서 중도 탈락함에 따라 법정관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채권단은 오는 23일까지 아남전자의 채권상환을 유예해주기로 결정, 아남전자로서는 이 기간안에 재산보전처분을 받는 게 시급한 실정이다.박상규 아남전자 사장은 1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매출채권 급증에 따라 이자비용부담이 늘어난 게 부실의 원인이었다』며 『하지만 기술력과 다양한 수출거래선을 확보하고 있어 법정관리만 받을 수 있다면 회생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지금 상황에서는 청산보다는 법정관리 개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朴사장은 또 『이를 위해 TV·오디오·디지털위성방송수신기(DBS) 분야에서 수출을 더욱 강화해 올해 18억6,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릴 방침』이라며 『총 78억원에 이르는 부동산과 유가증권도 빠른 시일내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번 워크아웃 탈락이 미국 아마나사와 맺은 오디오·DBS 등에 대한 향후 10년간 공급계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아마나사의 프랭크회장은 아남전자 지분 20%에 대한 투자의사도 밝혀왔다』고 덧붙였다. 아남전자는 또 수출을 대폭 확대해 올해부터 수출 비중을 50%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朴사장은 설명했다. 결국 아남전자의 회생여부는 워크아웃 탈락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서울보증보험으로 다시 넘어가게 됐다. 아남전자는 채무중 26%를 갖고 있는 서울보증보험의 반대로 워크아웃에서 탈락했다. 이 때문에 서울보증보험이 법정관리에 찬성해야만 법정관리를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서울보증보험측은 『아직까지 방침을 확정하지 못해 더 두고봐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74년 국내 처음으로 컬러TV를 생산하며 대표적인 가전업체 중 하나로 자리해온 아남전자가 다시 회생할 수 있을지는 채권상환 유예기간인 오는 23일까지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김기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