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클린턴 부부는 전날 연방선거위원회(FEC)에 제출한 재정보고서에서 순자산이 1,130만~5,270만달러라고 신고했다. 이들은 500만~2,500만달러 정도로 추정되는 뱅가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지수펀드와 50만~1,000만달러의 가치가 있는 생명보험상품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이날 신고된 재산에는 워싱턴DC와 뉴욕에 있는 수백만달러 상당의 집과 연방퇴직연금, 가구와 소장 예술품, 대통령 재임 때의 기념품이 포함되지 않았다. 지난 2013년 초 신고 때는 520만~2,550만달러였다.
강연료 수입이 최소 2,500만달러에 이른 게 천문학적 재산증가에 기여했다. 힐러리는 2014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51차례 강연에서 회당 12만5,000∼32만5,000달러를 챙겼고 클린턴 전 대통령은 53차례 연설에서 회당 10만∼50만달러의 강연료를 받았다. 또 힐러리는 2014년 출간한 자서전 '힘든 선택들(Hard Choices)'로 500만달러 이상을 벌었고 부부가 다른 저서 3권의 인세수입으로 4만5,000∼15만달러를 얻었다. 이들이 낸 소득세율은 30% 이상이라고 힐러리 선거 캠프는 설명했다.
회당 25만달러의 강연료를 챙긴 것으로 나타나면서 '중산층 대통령'이라는 클린턴 전 장관의 대선 구호가 위장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거세질 게 뻔하다. 클린턴 부부의 수입은 미국 내 '0.1%' 부자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반면 지난해 9월 미 인구조사국 발표에 따르면 미국 가구의 연간 평균 소득은 5만1,939달러에 불과하다.
특히 클린턴 전 장관의 주요 강연 고객은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도이체방크 등 월가 금융기관과 캘리포니아의약연합회, 고철리사이클링산업협회, e베이 등 이익단체와 대기업이었다. 로이터는 "클린턴 전 장관이 출마 선언에서 "모든 미국인을 위한 챔피언이 되겠다"고 했지만 그들 부부가 특권층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특정 이익계층에 신세를 진 상황에 대통령이 된 뒤 중산층을 위한 정책을 펼 리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