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에서 자본 유출 사태가 벌어질 경우 이 자금이 국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규모 외환 보유고와 경상수지 흑자로 1990년대와 2000년 중반 미국이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벌어졌던 급격한 자본유출 사태가 재발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한국 경제 파급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은 과거 두 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1차는 1990년대 중반이다. 1994년 1월 3%였던 기준금리를 1995년 2월까지 6%까지 올렸다. 이로 인해 중남미와 동아시아 신흥국, 러시아 등 경제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에서 외환 위기가 발생했고, 우리나라는 1997년 IMF에 구제금융을 받게 된다.
2차 인상 때도 국내 금융시장이 출렁였다. 미국은 2004년 1%였던 기준금리를 2006년 7월 5.25%까지 올렸다. 외환위기까지 가진 않았지만, 대규모 단기차입금이 빠져나가면서 그만큼 외환 보유고를 쏟아 부어야 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3,747억달러(2·4분기 기준)의 외환 보유고를 가지고 있는 데다, 1,018억달러(달러 기준 통화스왑은 192억달러) 규모의 통화 스왑을 체결하고 있는 만큼 자본이 유출되더라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지난해 1,000억달러를 돌파한 경상수지 흑자 등 펀더멘탈이 좋은 만큼 되레 신흥국 유출 자금이 국내로 몰려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2015년 1월부터 8월 기간 중 월평균 1.83%였다”며 “유사한 신용등급을 보이는 다른 나라에 비해 금리 수준이 높아 글로벌 투자자 입장에서 투자 매력도가 있다”고 말했다.
환율도 상승세를 유지하겠지만 급등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다만 중국 경기둔화와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수출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