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물가안정·자원분배 왜곡 다소 해소

경제 지속성장 유지 수준 통화정책 시행<br>환율·유가등 불안…당분간 현수준 동결<br>지방선거등 감안 6월께나 추가인상 할듯

박승 한국은행 총재가 9일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김동호기자

한국은행의 콜금리 인상 기조가 사실상 마무리됐다. 지난해 10월과 12월, 올 2월 등 세 차례에 걸친 콜금리 인상으로 물가안정을 위한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이 줄어든 데다 자원배분의 왜곡문제도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판단에서다. 박승 한은 총재는 “이번 인상으로 금리가 중립적 수준에 근접했다”며 “향후 금리정책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는 데 문제가 없는 확장적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혀 당장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나설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이달 금리를 올린 이유에 대해서는 박 총재는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회복함에 따라 금융통화위원회는 그동안 저금리 정책의 부작용을 줄여가기 위해 통화정책을 점차 중립적으로 이행해야 한다는 점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며 “이번 금리인상은 이러한 중기적 정책기조에 의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실제 수년간 지속된 저금리 체제로 시중의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이나 주식시장에서 자산거품을 야기했으며 자금의 단기화 현상도 부추겼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세 차례의 금리인상으로 지난해 9월 52.4%에 달하던 6개월 미만 단기수신 비중은 51.6%로 차츰 줄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도 증가폭이 크게 축소되는 움직임이 확연해지고 있다. 박 총재는 “향후 금리정책은 중기적인 관점에서 단기적인 관점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중립금리 수준에 가까워지기 위해 중기적 관점에서 선제적인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앞으로는 단기적인 경제지표, 즉 물가와 경기흐름 등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통화정책을 펴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 총재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시장 역시 당분간 콜금리가 현 수준에서 동결될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채권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현 금리수준이 유지될 수 있을까.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이달에는 콜금리 인상과 동결요인이 거의 대등했다”며 “결국 이달 인상됐다는 점은 다음달에는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내포한다”고 말했다. 시장 안팎에서는 환율과 유가 등 거시지표가 불안한데다 5월 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있어 최소한 6월께나 추가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3월 말로 박승 총재의 임기가 끝나고 4월 초 김종창ㆍ김태동 금통위원의 임기가 마무리된다는 점도 당분간 금리인상이 힘들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은행의 한 채권딜러는 “경제지표가 상당히 좋게 나오지 않는 이상 추가 금리인상이 좀 늦춰질 것으로 본다”며 “시장에서는 올해 중 동결이거나 더 인상하더라도 한번 정도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회복세가 지금보다 더욱 두드러지지 않는 한 당분간 급격하게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