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심층진단] 해운·조선·건설 등 취약업종 CP 발행 여전히 증가세

■ 구멍 뚫린 기업 구조조정<br>회사채 발행 어렵자 CP 이동<br>시장에 리스크 전이 우려

해운이나 조선ㆍ건설 등 취약업종에서의 기업어음(CP) 발행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양 사태 이후 회사채를 통한 자금조달이 어렵자 발행 요건이 더 쉬운 CP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도 취약업종의 자금조달이 늘고 있다는 점을 주목, CP 발행 추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장은 30일 한국금융연구원이 주최한 '2013년 경제동향과 2014년 전망세미나'에서 "최근 회사채 발행이 줄어들고 취약한 3개 업종을 중심으로 장기 CP 발행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해운ㆍ조선ㆍ건설업 등은 장기불황에 시달리며 점차 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회사채 발행은 더욱 어렵다. 김 과장은 "회사채 발행이 안 되는 쪽이 (더 발행 요건이 낮은) CP로 몰리는 게 아닌가 우려가 된다"며 "(기업) 리스크가 시장으로 전이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CP 발행 추이는 동양 사태에도 불구하고 줄지 않고 있다. 동양 사태 직후인 이달 7일부터 25일까지 3주간 기업들은 총 23조3,854억원의 CP를 발행했다. 동양 사태 직전 3주(9월9~27일)간 발행된 CP 물량(20조8,055억원)보다 12.4% 늘어난 수치다. 김익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CP는 발행 절차가 수월해 일반 기업들이 가장 선호한다"며 "우량등급 CP는 기관투자가들에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에 CP 시장의 호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금융 당국이 다음달 1일부터 머니마켓펀드(MMF)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CP시장도 위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MMF의 유동성과 편입자산 신용도 규제가 강화돼 국고채와 통안채에 비해 유동성과 신용도가 떨어지는 CP의 수요가 위축될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금융투자업규정 개정안에 따르면 MMF의 가중평균만기(듀레이션)는 현행 90일에서 75일로 15일 단축된다. 또 잔존만기 1영업일 이내 자산을 10%, 잔존만기 7영업일 이내 자산을 30% 의무적으로 보유하게 함으로써 금융 당국이 MMF의 유동성 비율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MMF에 담기는 자산의 신용등급도 최상위등급과 최상위등급의 바로 아래 등급까지로 한정해 기존처럼 금리는 높아도 신용등급이 낮은 CP 편입이 제한된다.

금융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당국이 동양그룹 사태 이후 CP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자 단기 CP는 관리ㆍ감독이 용이한 전자단기사채로, 장기 CP는 회사채로 수요가 이동하도록 금융 당국이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