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장기채 활성화 방안, 기관 참여 유도로 시장 활성화

5년물 지표채로 육성… 장단기 금리 현실화, 선물거래 확대등 시급

정부가 5년 만기 국고채를 지표 채권으로 내세운 것은 앞으로 10년 만기 국고채를 지표채권으로 만들기 위한 예정된 수순이라는 평가다. 5년물 발행 확대로 장기물을 원했던 기관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를 늘리고 장단기 금리가 현실화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5년물 선물거래의 활성화와 가격호가제의 도입 등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동준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대책이 물량을 줄이겠다는 것이 아니라 듀레이션(만기구조)을 장기로 가져가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에 큰 영향은 없다”며 “장기물 수요가 늘면서 금리가 덜 내려가면 장단기 금리차이가 현실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기물을 원하는 기관들의 시장 참여로 거래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도 높다. 김범중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연기금ㆍ보험사 등은 오래 전부터 장기물의 발행 확대를 요구해 왔다”며 “장기투자 기관들의 참여는 거래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유치영 PCA투신운용 채권운용팀장도 “장기채의 유동성이 보강되면서 장기 투자기관의 매매가 늘어날 것”이라며 “그러나 대부분의 펀드는 투자기간이 단기인 경우가 많아 일부 펀드는 운용과 실제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5년물의 거래활성화를 위해선 선물거래 활성화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많다. 김범중 애널리스트는 “3년물이 활성화될 수 있었던 것은 위험을 헤지(분산)할 수 있는 선물거래가 가능했기 때문”이라며 “장기물로 갈수록 위험분산의 필요성이 커지지만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거래방식도 1bp(0.01%) 단위의 수익률 호가에서 가격 호가제로 바꾸면 매매가 더 활발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승호기자 derrida@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