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는 SK와 달라 MK공백땐 경영 위기"

자동차산업硏 보고서 분석

“현대차와 SK는 다르다.” 정몽구 현대ㆍ기아차그룹 회장의 구속ㆍ불구속 여부에 대한 검찰의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그룹 안팎에서는 최근 현대ㆍ기아차의 상황과 과거 SK 사태를 동일선상에서 보는 시각에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그룹 총수의 역할이나 경영환경, 사업구조, 국가경제적 위상, 노사관계 등 모든 여건이 다른데도 마치 ‘경영권 공백이 전화위복의 계기’로 비쳐지고 있는 것이 크게 부담스러운 눈치다. 25일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가 발표한 ‘SK vs 현대ㆍ기아’란 제목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정 회장의 경우 우선 단순한 ‘오너’가 아니라 경영현장과 의사결정을 관장하는 ‘직접 경영자’인 점을 들어 과거 SK 사태와는 달리 심각한 경영위기가 초래되는 것은 물론 경영권 공격을 당하는 등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 위주의 자동차 부문에 집중하고 있는 현대ㆍ기아차 입장에서 고유가, 환율 급락, 원자재가 급등 등 대외 경영환경 악화는 그룹 전체에 타격이 될 수 있는 반면 SK의 경우 사업 다각화와 내수 위주 사업구조로 인해 최태원 회장 부재시에도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최 회장은 계열사를 투자자 입장에서 관리하고 감독하는 ‘오너’ 역할에 그친데다 손길승 회장이라는 막강한 2인자가 불구속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실질적인 경영공백에 대한 우려가 작았다”고 분석했다. 그는 “반면 정 회장은 절대적인 카리스마를 통해 그룹 경영 전반을 일일이 챙기는 등 현장경영의 ‘야전사령관’ 역할을 하고 있다”며 “자동차 부문에 집중된 그룹 구조하에서 중앙집중적 의사결정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SK와 달리 집중화된 의사결정 구조로 인해 정 회장 부재시 경영공백이 불가피하며 세계 자동차시장에서 ‘2류’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