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서비스ㆍ기사 처우개선 없는 택시요금 인상

서울의 택시 기본요금이 오는 12일 오전4시부터 현행 2,400원에서 3,000원으로 오른다. 모범택시 기본요금도 4,500원에서 5,000원으로 인상된다. 요금에 20%를 더 붙이는 시외할증료도 4년 만에 부활됐다.

당장 고객들의 지출증가가 불가피하지만 택시 기본요금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요금이 동결된 4년 동안 가스비와 차량유지비 등 운송원가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또 지난 2월 국회를 통과했으나 이명박 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택시법 파동 당시부터 택시요금 인상은 정치권의 합의를 거친 사안이다.


그럼에도 중형택시의 기본요금이 한꺼번에 25%나 오른 것은 과하다. 서울시는 거리와 시간을 병산하는 주행요금은 현행대로 유지하기에 실제적인 인상률은 10% 안팎이라고 설명하지만 이용객들도 부담 없이 받아들일지는 의문이다. 물가를 자극할 수도 있다. 택시요금 인상 직후에 승객이 감소하는 현상이 이번에도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에는 경기불황과 겹쳐 고객감소 폭이 크고 기간도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경우라면 택시기사들의 처우개선은 물 건너갈 수 있다. 요금 인상으로 사납금까지 올라간다고 보면 기사들의 실질급여가 오히려 줄어드는 기현상도 우려된다. 서울시는 인상된 요금이 적용되기 전에 택시기사 처우개선 대책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승차거부 근절 같은 고객 서비스 개선책도 미흡하다. 종로와 무교동ㆍ강남 일대는 상습적인 승차거부 지역으로 주말이면 택시를 잡기 위한 전쟁이 벌어진다. 시민들이 겪는 불편을 그대로 둔 채 요금만 올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서울시가 보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대체 교통수단인 버스나 지하철의 운행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해야 한다. 공급과잉을 해소하기 위한 택시업계의 자율적 운행차량 축소 노력이 병행돼야 함은 물론이다. 이런 보완점이 수반되지 않는 택시요금 인상은 업자들의 배만 불릴 뿐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