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채권시장 풍향계] 금리 인상전까진 하향 안정세 지속될 듯


시장금리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위험자산 선호현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오는 8월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과 외국인 채권 투자를 규제한다는 루머가 맞물리며 국채 선물에 대한 순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방적인 금리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악재가 쌓이고 있기는 하지만 유로 위기가 극단적인 사태까지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로 위기가 극에 치달았을 경우 유럽계 자금 이탈이라는 충격이 시장을 엄습할 수도 있었지만 현실화되지는 않았다. 또 시장에 도는 소문과는 달리 외국인 채권 투자 규제 가능성이 크지 않다. 현재 시장에서 나타나는 위험 자산 선호현상이 부담스러운 요소로 남아 있지만 자금 이탈 우려가 진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외국인 채권 투자가 규제될지는 미지수다. 중앙은행 등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특별법적 성격을 띠는 조세 협약상 과세는 불가능하다. 남이 없는 규제를 국내에서만 한다면 건전한 투자 자금도 이탈하게 될 수 있어 규제 도입은 신중하게 이뤄질 것이다. 월말과 월초 경기와 물가 지표가 확인될 시점이다. 핵심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3분의1을 돼지고기와 전ㆍ월세, 금, 쌀 등이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자본재 수입에 힘입어 반등했던 경기선행지수는 전년과 비교해 하락하거나 횡보하며 불확실성을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다. 경기가 지지하지 않는 인플레이션이 금리 인상으로 대응해야 하는 수요 인플레이션인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또 앞으로 발표된 8월 국고채 발행계획은 더할 나위 없는 수급 여건을 제공해줄 것이다. 2015년까지 집중돼 있는 국고채 만기 분산을 위한 대규모 바이백이 재확인될 것이다. 더구나 한도까지 발행되더라도 월평균 상반기 7조1,000억원, 하반기 6조6,000억으로 발행 규모가 줄어든다. 만약 8월에 금리가 인상된다고 해도 금리 상승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내외 경기가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지난 다섯 차례 금리 인상 중 지난 1월을 제외하고 네 차례가 그랬듯이 금리는 오히려 하락할 수 있다. 외국인 선물 순매도와 경기 불확실성이 상충되는 가운데 금리 인상 불확실성 해소 이전까지 부담스럽지만 금리 레벨의 하향 안정 혹은 스프레드 축소가 지속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