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운 오리' 신세 된 대학 운동부

대학구조 개혁평가 맞물려 학내 구조조정 1순위 '수난'

운동부 예산 감축·동결 줄잇고 폐지론도 다시 고개

"중고교 운동선수 감소 연쇄반응 보이나" 우려 목소리

교육부의 대학구조 개혁평가와 맞물려 '대학 운동부'가 학내 구조조정의 1순위로 내몰려 수난을 겪고 있다. 대학 운동부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되면서 중고등학교 운동선수까지 감소하는 연쇄반응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서울경제신문이 분석한 '2012∼2015년 각 대학 운동부 예산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71개 대학 중 85%에 해당하는 60개 대학이 운동부 예산을 감축하거나 동결했다. 운동부 예산이 전년 대비 증가한 곳은 15%(11곳)에 불과했다. 대학들은 올해 운동부의 예산을 평균적으로 16%가량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소재 A대학의 경우 올해 운동부 예산은 지난해(1억8,500만원)의 30%에도 못 미치는 5,200만원만 책정됐다. 경기 소재의 B대학도 전년도의 절반 수준인 1억3,700만원을 깎았다. 이들 학교 측이 내세운 논리는 학교 전체 예산 감소였다. 특히 이들 대학 중 일부는 대학구조 개혁평가 결과 재정지원제한대학(D∼E등급)으로 선정돼 예산 감축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규모가 큰 서울 소재 대학도 마찬가지다. 매년 11억원대 예산을 지원하던 서울의 C대학은 올해 들어 예산을 1억원 넘게 줄였고 또 다른 서울 소재 대학은 운동부를 축소하면서 예산을 10% 줄이기도 했다.

이에 따라 대학 내 운동부 폐지론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특히 대회에서 성적이 좋지 않거나 대학 홍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곳은 구조조정이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올해 성균관대에서는 선수 16명이 있는 핸드볼부를 폐지했다. 한양대는 운동부 규모를 축소했다. 한 서울 사립대 체육교육학과 교수는 "대학에서 이공계열 위주의 구조조정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학내 운동부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프로연맹이 없거나 성적이 좋지 않은 운동 종목은 언제 없어질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 대학 관계자는 "교육부 구조개혁평가에서 운동부만의 특성을 무시하고 교육부에서 취업률 등 동일한 지표를 적용하다 보니 대학에서는 크게 불리한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는 중고교 운동선수 수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김미정 용인대 교수(유도 금메달리스트)는 "다들 위태롭게 남아 있는 상황에서 대학 운동부 정원도 줄면서 더 이상 중고교 선수가 진학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사립대 교수는 "대학 운동부가 줄면 중고교 운동선수가 줄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연쇄반응"이라며 "현재 올림픽 성적이 좋은 종목도 대학에서는 운동부를 없앤 지 오래돼 머지않아 엘리트 체육에 위험신호가 올 것"이라고 했다. 그는 "프로 종목에서도 용병선수들을 데려와 절반까지 채워야 하는 시기가 올 수도 있다는 게 현재 체육계의 가장 큰 고민"이라고 덧붙였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