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황식 총리후보 지명] 내정후 모의청문회도 거쳐

■ 인선 막전막후<br>'공정총리' - '경제총리' 놓고 막판까지 저울질

이명박 대통령이 '판사 출신 호남 총리'를 낙점하기까지는 '공정총리'와 '경제총리' '실무총리' 등 다양한 인물들이 비중 있게 검토됐다. 이 대통령은 지난 8월29일 김태호 전 국무총리 후보자가 자진사퇴한 후 즉각 후임 총리 후보자 인선에 착수했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시된 것은 '도덕성'이었다. 인사청문회에서 도덕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총리 후보자와 장관 후보자 2명이 동시에 낙마한 상황이어서 인사청문회 통과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인선 초기부터 인사청문회에서 무난히 통과한 경력이 있는 인사와 상대적으로 도덕성에 흠결이 적은 법관 출신 인사들이 유력 후보군으로 부상했다. 이 때부터 김황식 후보자와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거론되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행정경험을 겸비한 김 후보자가 유력하게 거론됐다. 그러나 김 후보자가 병역 미필자라는 점이 악재였다. 그러다가 공정 총리냐 경제 총리냐를 두고 고민하기 시작하면서 경제 총리로 윤증현 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거론됐다. 또한 이 대통령은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과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 '실무총리'도 함께 고민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마음은 다시 '공정 총리' 쪽으로 움직였다. 이에 따라 한때 안대희 대법관이 급부상했다. 인사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할 정도로 자기 관리가 철저했던 사람일 뿐더러 이 대통령이 말하는 공정한 사회에 가장 적합한 사람이라는 평가 때문이다. 대선자금 수사과정에서 그와 악연이 있는 한나라당 내에서도 파격 카드로 안 대법관에 대한 우호 분위기가 형성됐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마지막에는 김황식 원장 카드를 뽑아들었다. 인사청문회 절차를 거쳐야 하는 후임 감사원장을 새로 뽑아야 하는 점과 병역 미필자라는 약점도 극복했다. 청와대는 15일 저녁 이 대통령의 결심이 서자 16일 오전 임 실장과 민정수석실 인사들을 중심으로 모의 인사청문회가 실시됐다. 시기적으로 많이 서둘렀다. 강화된 인사검증 절차에 따르자면 시일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지만 추석 연휴 이전에 후보자를 지명해야 한다는 압박이 컸다. 총리가 인준된 후에 공석 중인 외교통상부 장관을 뽑을 수 있고 불가피하게 유임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후임자도 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임 실장 등 인사추천위원들은 16일 오전 비공개리에 청와대에서 김 후보자에 대한 모의 인사청문회를 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임 실장은 "모의 청문회 결과 정책실장을 비롯해 모든 수석들의 의견이 일치했다"면서 "이 때문에 당초 17일 또는 19일 총리 인선 결과를 발표하려 했으나 더 이상 늦추는 게 맞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 예결위가 오늘이 마지막이어서 내정 사실을 밝혀도 문제가 없다고 봤다"고 덧붙였다. 홍상표 홍보수석은 "당초 김 후보자가 모의 청문회 결과 적합하지 않으면 차순위자 순으로 모의 청문회를 다시 진행하기로 했었다"며 "김 후보자가 점심시간을 이용해 이 대통령을 면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