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국, 亞서 환율변동 가장 심해

지난달 달러 대비 0.71%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지속된 지난 10월 한 달간 우리나라 원화가 주요 아시아 국가 통화 중 가장 심하게 출렁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달러에 대한 원화의 전일 대비 환율 변동률은 0.71%를 기록해 한은이 집계하는 18개국 중 8위를 차지했다. 1위부터 7위까지는 호주 달러화(0.99%), 뉴질랜드 달러화(0.92%), 스위스 프랑화(0.86%), 스웨덴 크로네화(0.78%), 캐나다 달러화(0.74%), 덴마크 크로네화(0.73%), 유로화(0.72%) 등의 순이었다. 8위인 원화의 환율 변동률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원화의 지난달 환율 변동률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 있었던 지난 9월(0.94%)에 비해서는 다소 낮아졌지만 이를 제외하면 1년4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앞서 지난해 5~6월에는 천안함 침몰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과 금융 당국의 선물환포지션 제도 도입, 위안화 절상 가능성 등 다수의 불확실성으로 1%가 넘는 큰 변동폭을 보였다. 주요 아시아 국가의 경우 일본 엔화는 환율 변동률이 0.25%로 우리나라의 3분의1 수준이었고 ▦싱가포르 달러화 0.56% ▦말레이시아 링깃화 0.62% ▦태국 밧화 0.3%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0.25% ▦중국 위안화 0.16% 등을 나타냈다. 원화의 환율 변동폭 확대는 금융시장 불안과 함께 수출둔화ㆍ물가상승 등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환율 변동성이 1%포인트 커지면 수출금액이 7.1% 줄어들고 수입물가는 2.7%포인트 오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며 "국내 소비자물가에는 1~6개월의 시차를 두고 상승압력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