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신체적 노화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척추관협착증

전신마취 필요 없이 시술 가능한 경막외신경성형술로 극복하자


평소에 척추질환이라고 하면 허리디스크를 생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허리디스크 외에도 다양한 척추질환이 존재한다. 허리디스크와 함께 척추질환의 대명사로 불리는 척추관협착증이 대표적인 질환인데, 이는 신경의 통로라고 할 수 있는 척추관이 좁아짐으로 인해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신체적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척추관 역시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면서 발생하는데, 만성적인 요통과 다리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대표 증상이다. 그렇다면 허리와 다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증상을 가진 척추관협착증에 대해 강남베드로병원의 신경외과 전문의 신병욱 원장과 함께 알아보자.


Q.척추관협착증이란 무엇인가요?

A.척추에는 신경이 지나갈 수 있는 ‘척추관’이라는 통로가 있는데, 이 척추관이 계속해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척추관은 협착이 발생하는데, 협착된 척추관이 신경들을 압박하면서 신체의 전반적인 부분에 통증 및 기타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이는 허리에만 통증이 발생한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은 신체 거의 모든 기관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다리에 심한 통증을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감각을 둔화시켜 보행기능의 저하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척추관협착증의 치료법은 무엇이 있나요?

관련기사



A.척추관협착증의 치료는 척추관의 협착이 얼마나 진행됐는지에 따라서 다릅니다. 척추관의 협착이 심하지 않고 환자 본인이 느끼는 통증이 그리 크지 않을 때에는 보조기를 착용한다거나 약물 및 물리치료를 시행하는 등의 보존적 요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척추관의 협착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도 심각할뿐더러, 지속적인 다리통증 및 감각장애로 보행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어서 수술적 치료를 통해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어야 합니다.

보통은 경막외신경성형술이라는 치료법을 통해서 척추관을 넓혀줄 수 있는데, 이 치료법은 지름2mm 주사바늘을 병변에 삽입해 협착으로 인해 발생한 염증을 소독 및 치료할 수 있는 특수약제를 주입한 후에 신경이 잘 통할 수 있도록 신경구멍을 넓혀주는 치료법입니다.

Q.척추관협착증 치료 후 관리는 어떻게 해주어야 하나요?

A.척추관협착증은 치료를 받았다고 해서 끝나는 질환이 아니라, 치료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물론 치료를 받고 나면 통증이나 감각의 둔화와 같은 증상들은 굉장히 많이 호전되지만, 신체적 노화로 인한 척추뼈의 퇴행성 변화는 멈추질 않기 때문에 세월이 많이 흐르다 보면 재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허리 주변의 근육과 인대 등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주기적으로 척추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급적이면 허리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동작이나 일은 삼가야 합니다./디지털미디어부

[위 기사는 해당업체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