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관계 로비의혹 밝혀질까" 촉각

■ 정몽구 회장 8일 귀국<br>비자금 조성 직접관여 포착, 용처 규명 급물살<br>鄭회장 부자 소환은 이르면 다음주말께 가능


"정·관계 로비의혹 밝혀질까" 촉각 ■ 정몽구 회장 8일 귀국비자금 조성 직접관여 포착, 용처 규명 급물살鄭회장 부자 소환은 이르면 다음주말께 가능 임석훈 기자 shim@sed.co.kr 정몽구 현대차 회장의 귀국은 현대차 비자금 수사가 정ㆍ관계로 확산되는 예고편이라고 할 수 있다. 검찰이 정 회장을 현대차 비자금 조성과 사용의 총책임자로 지목하고 있는 만큼 조사가 불가피하고 이 경우 검찰의 비자금 사용처 규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통상 대기업 비자금은 정ㆍ관계 로비용 자금일 가능성이 커 현대차 수사는 정ㆍ관계 '후폭풍'이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정 회장이 귀국하더라도 즉시 소환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7일 "자체 수사일정이 있기 때문에 (정 회장 부자를) 다급하게 소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좀더 시간을 갖고 비자금 사용처에 대한 물증을 확실하게 파악한 후 정 회장 등을 확인 차원에서 부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정 회장 부자의 검찰 소환은 이르면 다음주 중반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 회장 부자 소환시 조사대상은 비자금 조성 경위와 용처, 경영권 승계 과정의 비리의혹 등으로 압축해볼 수 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이날도 "경영권을 이용한 부의 축적과 불법적인 이전에 대한 부분도 보겠다. 5개 구조조정전문회사를 압수수색한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다시 한번 강조,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나타난 불법행위에 대해 강도 높게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검찰은 또 비자금 조성과 관련, 그동안 현대차그룹 압수수색에서 확보된 비자금 입출금 장부 등 물증과 잇따른 임직원 소환을 통해 정 회장이 직접 관여했다는 정황을 잡은 상태다. 따라서 검찰은 정 회장이 언제 어떤 방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해 관리했고 그 규모는 얼마이며 누구에게 무슨 목적으로 사용했는지를 낱낱이 추궁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브로커 김재록씨가 현대차 비자금 조성과 경영권 승계 등에 관여했는지도 살펴볼 방침이다. 양재동 사옥 매입 과정과 연구센터 증축 인허가를 위해 김씨에게 로비를 부탁했는지, 로비를 부탁했다면 그 대상은 누구인지도 정 회장 부자의 조사에서 밝혀질지 주목된다. 무엇보다 정 회장 부자 소환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비자금 사용처, 즉 정ㆍ관계 로비의혹이 규명될지 여부다. 비자금 가운데 뭉칫돈이 정ㆍ관계를 비롯한 유력 인사들에게 수시로 흘러들어간 단서를 검찰이 이미 포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현대차 수사가 정ㆍ관계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분석이다. 비자금이 정ㆍ관계로 흘러간 정황이 확인되면 수사의 물줄기는 로비 대상이 된 정ㆍ관계 인사로 급선회, 종착역을 향해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 검찰 조사를 통해 정 회장의 비자금 조성 지시 및 사용 사실이 확인될 경우 특경법상 횡령혐의가 적용될 수 있고, 정의선 사장의 글로비스와 본텍 등을 이용한 경영권 편법 승계가 드러나면 공정거래법 위반 등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입력시간 : 2006/04/07 17: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