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황 교수 연구 계속돼야 한다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가 윤리문제란 커다란 암초에 걸린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줄기세포 연구에 윤리문제는 아킬레스 건이지만 이번 난자파동은 이를 다시 한번 입증한 셈이다. 행여 이 일로 줄기세포 연구가 움츠러들어 많은 불치병 환자들의 희망의 등불이 꺼지지 않을 까 우려된다. 사태를 원만히 수습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이해와 격려가 어느 때 보다 필요하다. 난자 기증자에게 150만원을 준 것은 윤리적 차원에서 분명히 문제가 있다. 보상차원에서 주었다고 하지만 매매로 오해 받을 수도 있다. 아무리 금전적 보상 목적의 난자채취를 금지한 생명윤리법이 발효되기 전이라고는 하지만 윤리논란은 피할 수 없다. 논란이 더 증폭되기 전에 황 교수가 그 동안의 과정과 입장을 분명히 밝혀 털고 넘어가는 것이 가장 빠르게 사태를 수습하는 길이다. 이번 사태는 선진국의 질시성 견제가 발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황 교수의 연구성과가 발표될 때 마다 견제의 강도는 더해졌고 세계 줄기세포연구 허브를 개원함에 따라 폭발한 것이다. 의사도 아닌 수의학을 전공한 교수가 연구 초창기에 난자를 취득하기가 아주 어려웠을 것이란 약점을 파고든 셈이다. 황 교수를 칭찬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바로 여기에 이번 윤리문제의 바탕이 있다는 국민적 이해가 아쉬운 때다. 정부도 이번 사태를 조사해야 하겠지만 확대하기 보다는 사태를 합리적으로 수습해 황 교수의 연구가 중단 없이 진행되도록 도와야 한다. 연구목적 난자기증을 합리화하는 민간주도의 재단법인이 자발적으로 설립된 것이 바로 황 교수 연구에 대한 국민의 기대를 말해주는 것이다. 이번 사태는 황 교수에게 커다란 시련이다. 앞으로도 연구성과가 나올수록 선진국의 견제도 심해질 것이다. 오히려 이번 사태를 윤리문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 재단설립으로 그 토대는 갖춰진 셈이다. 황 교수가 심기일전 불치병 환자의 희망의 등불을 환히 켜주도록 국민과 정부 모두 성원을 보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