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개인정보 내 놓기 싫으면 나가라" 오만해진 카카오톡

메신저 이용약관 변경하며 저장된 번호등 무차별 수집<br>동의 안하면 서비스 금지… 이용자들 불만·항의 잇따라


"개인정보 내 놓기 싫으면 나가라" 오만해진 카카오톡 메신저 이용약관 변경하며 저장된 번호등 무차별 수집동의 안하면 서비스 금지… 이용자들 불만·항의 잇따라 양철민기자 chopin@sed.co.kr 국내에서 1,800만 명이 쓰고 있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이 최근 이용약관을 변경하며 무차별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어 물의를 빚고 있다. 카카오톡은 지난 7일 이용약관 변경고지를 통해 이용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제3자의 전화번호, 기기고유번호 및 만 14세 미만인 경우 법정대리인 정보를 수집하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이용자 상태정보, 카카오톡 이용자 이름 및 아이디, 사진, 방문 일시, 서비스 이용 기록, 이메일 주소 등도 추가로 수집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문제는 이러한 이용약관에 동의하지 않으면 카카오톡을 이용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카카오톡은 위와 같은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안내에 동의하지 않으시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밝히며 '카카오톡 계정을 삭제하시겠습니까?'라고 묻는다. 이와 함께 '계정을 삭제하면 회원님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고 친구들과 채팅도 할 수 없게 됩니다'라며 약관에 대한 동의를 강제하고 있다. 이러한 카카오톡의 처사에 대해 이용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7일 오후 카카오톡에서 탈퇴했다는 직장인 한 모(28) 씨는 "최근 SK컴즈의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가뜩이나 민감한 상황에서 카카오톡의 개인정보 강제 수집은 분명 문제가 있다"며 "무엇보다 계정을 삭제하면 큰 불이익을 받을 것처럼 고지하는 행태가 괘씸해 탈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트위터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도 카카오톡의 이같은 행태는 가입자 수를 기반으로 한 횡포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반발해 회원탈퇴를 했다는 글도 심심찮게 찾아 볼 수 있다. 카카오톡은 지난해 10월에도 사전 공지 없이 약관을 변경해 항의를 받은 바 있다. 당시 카카오톡은 개인정보 추가 수집에 동의한 회원에 한해 실명과 주민등록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을 수집할 수 있다고 밝혔었다. 이와 관련해 이용자들의 항의가 끊이지 않자 이제범 카카오 대표가 블로그를 통해 공식 사과문을 올리기도 했다. 문송천 카이스트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휴대폰과 이름 및 집주소만 알면 개인의 모든 정보를 다 알 수 있을 정도로 개인정보 관리가 허술하기 때문에 이번 카카오톡의 정책은 개인신상 정보를 지나치게 수집한다고 볼 수 있다"며 "이러한 정보를 고객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악용될 소지가 높다는 측면에서 법적 제재가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한편 '마이피플'을 서비스하는 다음과 '네이버톡'을 서비스하는 NHN 측은 이러한 정보수집 논란과 관계 없다는 입장이다. 마이피플과 네이버톡은 포털 사이트 회원 가입시 동의했던 약관을 따르기 때문에 별도의 개인정보 수집이 없다는 것. 다음 관계자는 "마이피플의 경우 PC와의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자들의 주소록과 같은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 놓긴 한다"며 "다만 회원 탈퇴시 모든 정보는 이틀 내로 삭제된다"고 밝혔다. [자동차 & IT]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도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