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10명중 8명 "직장내 성차별 개선"

노동부, 1,000명 의식조사<br>여성 60% "아직도 심각"


국민들은 직장 내 성차별이 과거에 비해 개선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성차별 심각도에 대해서는 남자와 여자 응답자의 의견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제10회 남녀고용평등강조주간(4월1~7일)을 앞두고 일반국민 1,000명(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을 대상으로 여론조사기관(미디어리서치)을 통해 남녀고용평등 국민의식 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8명(81.3%)은 과거에 비해 직장 내 성차별이 개선되고 있다고 인식했다. 다만 성차별 정도에 대해 아직까지는 심각하다(48.5%)는 시각과 심각하지 않다(44.8%)는 시각이 엇갈렸다. 성차별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지난 2006년 64.9%에서 2007년 56.3%, 2008년 53.9%, 2009년 47.1%로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남녀별로는 성차별에 대해 남성은 심각하지 않다(57.9%)는 응답이 높은 반면 여성은 심각하다(60.4%)는 응답이 높아 남녀 간의 인식 격차가 컸다. 고용경험이 있는 여성은 37.1%가 직장 내 남녀차별을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차별 내용으로는 임금 및 임금 이외의 금품지급(35.2%), 승진과 관련된 불평등(26.3%), 부서배치(15.0%) 등의 순이었다. 직장 내 남녀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주의 의식변화(34.2%)가 필요하다는 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근로자 개개인의 권리의식(23.8%), 교육 및 홍보강화(23.2%), 남녀차별 개선 정책 강화 (12.9%) 순이어서 이해 당사자의 인식변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시각이 다수였다. 한편 여성취업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는 여전히 육아부담(63.7%)이 가장 높았고 양육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제도로는 직장보육시설 제공(47.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직장 내 성희롱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하지 않다(49.9%)는 응답이 심각하다(43.1%)보다 높았고 과거에 비해 성희롱이 줄었다(62.9%)는 응답이 다수였다. 고용경험자가 성희롱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은 37.2%로 전년의 24.2%에 비해 크게 늘었지만 대다수가(62.8%)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지속적인 예방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