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한·중·일에 셰일가스 수출해야"

"영향력 확대" 싱크탱크 한목소리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한국·중국·일본에 셰일가스를 수출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아태 지역의 대미 에너지 의존도를 끌어올리면 미국의 지정학적 입지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 싱크탱크인 애틀랜틱카운슬은 23일 '셰일가스와 새로운 지정학'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일본과 한국·대만 등 아시아 국가들은 에너지의 70%를 중동국가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미국이 이들 지역으로 에너지를 수출한다면 미국의 위상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이어 "셰일가스 수출은 미국의 아시아 리밸린싱(재균형) 정책을 강화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은 전략의 함의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회복"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미국은 '셰일혁명'으로 불리는 셰일오일 및 셰일가스 채굴을 통해 최근 신(新) 에너지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오는 2017년 즈음 현재 세계 1위 원유 생산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칠 것으로 전망되며 2030년에는 완전자급 및 에너지 순수출국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반해 미국은 지금껏 전략적 차원에서 에너지 수출을 사실상 금해왔는데 이 같은 규제장벽을 풀어 아시아 수출량을 대폭 늘림으로써 이 지역에서의 미국 패권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애틀랜틱카운슬의 주장이다.

특히 보고서는 주요2개국(G2)이자 미국의 최대 라이벌 국가로 떠오르는 중국을 견제하는 차원에서도 이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중국도 현재 천연가스 수요의 30%를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수입 의존도가 50%까지 높아질 것"이라며 "중국에 대한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은 미중관계에서 경제적·전략적 측면의 상호 의존성을 높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