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서울 버블_非버블지역 아파트 가격차 줄었다

연초보다 2,848만원 감소


개발 호재가 많은 강북권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서울의 ‘버블’지역과 ‘비버블’지역 간의 아파트 가격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강남과 서초ㆍ송파ㆍ양천구 등 서울 지역 ‘버블 4개구’의 가구당 평균 아파트값은 9억4,907만원으로 나머지 21개구의 아파트 평균 가격(3억9,257만원)보다 5억5,650만원이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여전히 큰 가격 차이지만 올 1월 초의 5억8,498만원(버블지역 9억5,622만원, 비버블지역 3억7,124만원)보다는 가구당 평균 2,848만원 감소한 것이다. 지역 간 가구당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6월 초의 2.74배에서 연말 버블 논란으로 강남권 가격이 떨어지면서 올해 1월 초 2.57배로 좁아졌다. 또 정부의 1ㆍ11대책 이후에는 강북권 아파트가 강세로 돌아서면서 10월 초 현재 2.42배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양천구가 지난 1월 초 가구당 6억8,454만원에서 이달 초 6억6,155만원으로 2,299만원 떨어져 가장 두드러진 하락세를 기록했다. 또 송파구가 1,304만원(8억6,229만원→8억4,924만원) 하락한 것을 비롯해 서초구가 528만원(10억1,837만원에서 10억1,310만원) 떨어졌고 강동구도 759만원(5억4,339만원→5억3,580만원) 내렸다. 다만 강남구는 기존 아파트 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새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평균 가격이 445만원(11억6천64만원→11억6천509만원) 올랐다. 반면 비버블지역은 국제업무지구 조성 등 각종 호재를 등에 업은 용산구가 8억60만원에서 8억5,899만원으로 5,839만원이나 뛰어 새로운 버블지역으로 등장했다. 광진구 역시 개발 호재와 ‘스타시티’ 등 신규 입주 아파트의 영향으로 5억7,921만원에서 6억2,512만원으로 4,591만원 상승했다. 이와 함께 ▦동대문구 2,995만원(3억1,866만원→3억4,861만원) ▦종로구 2,920만원(3억8,175만원→4억1,095만원) ▦강북구 2,895만원(2억6,594만원→2억9,489만원) ▦서대문구 2,583만원(2억9,709만원→3억2,292만원) 등도 가구당 평균 2,000만원 넘게 값이 올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