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금리 내달 인상 가능성 커져

4월 비농업부문 일자리수 급증·실업률 소폭 하락

4월 비농업부문 일자리수는 미국 금리 인상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발표 전부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었다. 그 동안 금리 인상에 인내심을 발휘해왔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지난 6일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이 균형을 이뤘다며 인내심 문구를 발표문에서 삭제, 금리인상시기를 저울질해왔다. ◇6월 금리 인상 가능성 커졌다= FRB가 '인내심'을 버리면서 동시에 금리 인상에 '신중'을 기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선 금리 인상 전망이 크게 6월과 8월로 갈렸었다. 인내심을 버린 쪽에 초점을 맞춘 사람은 6월에 베팅을 했고, 신중을 기하겠다는 발언을 심각하게 받아들인 쪽은 8월 금리 인상을 점쳤다. 그러나 고용 시장이 생각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많은 전문가들이 6월 금리 인상 쪽으로 기울고 있다. 디플레이션 위험이 사라진 지금 금리 인상에 유일한 장애는 고용 시장이란 데 대부분 전문가들은 동의하고 있다. 이날 고용 지표 발표 직후 이전까지 8월 금리 인상을 점치던 JP모건과 베어스턴, 노무라 홀딩스 등 주요 투자은행들이 일제히 6월로 금리 인상 시기 전망을 앞당겼다. ◇고용 없는 성장 끝났다= 7일 발표된 고용 지표는 미국의 고용 없는 성장이 마침내 종지부를 찍었음을 보여준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지난 3월 비농업부문 일자리수가 30만8,000개 증가하며 '고용 서프라이즈'를 유발했지만, 당시 지표는 고용 시장 회복을 단정하지 못했다. 워낙 부진했던 1ㆍ2월분을 보충한 것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용 시장 회복의 가늠자는 4월 고용 지표라고 전문가들은 간주해왔다. 28만8,000건의 신규 고용자를 기록한 이날 발표는 결국 두 달 연속 '고용 시장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고용 시장의 견조한 회복세를 입증한 셈이다. 게다가 5월 통계에 잡히는 지난 주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3년 7개월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 이러한 전망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최윤석기자 yoep@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