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팬택 워크아웃 무산땐 CP보유자 손실 입을것"

김종배 産銀부총재 동참 촉구


“은행권이 팬택계열의 기업어음(CP)을 떠안는 일은 없을 것이다. CP와 회사채 보유자들도 워크아웃이 무산되면 결국 본인들이 손실을 입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김종배(사진) 산업은행 부총재는 21일 기자들과 가진 오찬회에서 “은행권이 CP를 떠안아줄 수 없는 구조이며 워크아웃이 무산되면 팬택계열은 법정관리로 가는 수밖에 없다”며 “지금 채무를 연장해주고 나중에 회사가 정상화된 후 회수하면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해 CP와 회사채 보유자들의 워크아웃 동참을 촉구했다. 김 부총재는 “현재 팬택은 멕시코와 러시아ㆍ미국 등 해외에서 수주받은 물량이 상당히 많다”며 “그 부분이 아니었으면 채권단도 워크아웃을 결정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재는 또 “팬택이 쓰러지면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상징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이 있다”며 “휴대폰 사업은 소비자들이 관건이며 팬택을 법정관리로 놔두면 브랜드가 약해지고 영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고 말해 채권단이 워크아웃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상황임을 강조했다. 한편 김 부총재는 “실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채무재조정을 결정할 때 대주주인 박병엽 부회장 지분도 모두 담보로 잡을 것”이라며 “지분 외에 박 부회장이 사재 출연할 만한 자산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